논문(論文) : 한국과 중국의 중학교에 있어서 일본어교육에 관한 고찰 -한국과 중국 교과서 비교를 중심으로-
- 최초 등록일
- 2012.02.14
- 최종 저작일
- 2012.02
- 17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5,200원

판매자한국학술정보(주)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창업정보학회
ㆍ수록지정보 : 창업정보학회지 / 20권
ㆍ저자명 : ( Saito Akemi )
한국어 초록
본고는 한국의 중학교에 있어서 일본어교과서『중학교 생활일본어』와 중국의 중학교에 있어서 일본어교과서[『好朋友(친구)』를 교과서목표(교육이념), 단원구성, 토픽/화제, 문화에 대한 취급, 만화의 채용, 문자(오십음도)교육 등에 대하여 언급한 것이다. 조사결과, 유사점으로는 ①「교육목표」「교육이념」은 커뮤니케이션과 문화이해를 중시하고 있다. ②교수법은 의사전달 접근방식으로 문법중심이 아니다. ③기본적으로는 문법용어를 사용한 문법 설명은 보이지 않는다. ④교과서의 토픽·화제가 유사하다. ⑤문화에 관한 기술이 많다. ⑥정중체(丁寧體)와 보통체 문장을 동시에 학습할 수 있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이점으로는 ①한국의 교과서는 1권이나 중국의 교과서는 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②한국의 단원구성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4기능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중국의 교과서는 그렇지 않다. ③한국은 단편적인 장면설정으로 만화를 활용하고 있으나 중국은 완결형 스토리 만화로 되어있다. ④한국의 만화 무대는 일본이 많으나 중국에서는 기본적으로 중국 다렌(大連)이 무대가 되고 있다. ⑤한국에서의 만화 회화 문장은 일본어로 되어 있으나 중국 교과서에서는 일본어와 중국어가 혼재하고 있다. ⑥한국의 교과서에서는 일본과 한국의 문화중심이나 중국의 교과서에서는 일본, 중국 이외의 각국 문화도 다루고 있다. ⑦한국에서의 문자 교육은 한국어로 된 이미지·일러스트가 보이지 않으나 중국 교과서에서는 이미지·일러스트가 있다는 것 등을 알았다.
영어 초록
本稿は、韓國の中學校における日本語の敎科書『中學校生活日本語』と中國の中學校における日本語の敎科書[『好朋友ともだち』を敎科書の目標(敎育理念)、單元構成、トピック/話題、基本表現、文化、漫畵、文字敎育(五十音圖)等について言及したものである。調査の結果、類似点として①「敎育目標」「敎育理念」はコミュニケ―ションと文化理解を重視している。②敎授法はコミュニカティブ·アプロ―チであり、文法中心ではない。③基本的には文法用語を用いた文法說明がみられない。④敎科書のトピック/話題が類似している。⑤文化に關する記述が多くみられる。⑥丁寧體と平常文が同時に學習できる形式をとっている、こと等がわかった。異なる点については、①韓國の敎科書は1冊であるが、中國の敎科書は5冊で構成されている。②韓國の單元構成は、「聞く、話す、讀む、書く」の4技能中心に構成しているが、中國の敎科書は異なっている。③韓國は斷片的な場面設定として漫畵を活用しているが、中國は讀み切りのスト―リ―漫畵になっている。④韓國の漫畵の舞台は日本が多いが、中國では基本的には中國(大連)が舞台になっている。⑤韓國では漫畵の會話文が日本語で書かれているが、中國の敎科書は日本語と中國語が混在している。⑥韓國の敎科書では日本と韓國の文化中心であるが、中國の敎科書では、日本、中國以外の國國の文化も取りあげている。⑦韓國の文字敎育は韓國語によるイメ―ジ·イラストがみられないが、中國の敎科書には中國語のイメ―ジ·イラストがある、こと等がわかった。
참고 자료
없음
"창업정보학회지"의 다른 논문
더보기 (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