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 신진우수논문 선정 ;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한 경험학습 중심의 공동체적 유아 경제생활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미래유아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18권 / 1호 / 1 ~ 33 페이지
ㆍ저자명 : 김숙자 ( Suk Ja Kim ) , 이미진 ( Mi Jin Yi )
ㆍ저자명 : 김숙자 ( Suk Ja Kim ) , 이미진 ( Mi Jin Yi )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한 경험학습 중심의 공동체적 유아경제생활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이다. 이를 위해 9개의 기초 선행연구 분석으로 프로그램 모형 개발을 위한 이론적 준거와 실천적 준거를 추출하였다. 첫째, 이론적 준거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유아 경제생활에 관련된 경제생활 및 경제학, 유아 경제교육 관련 자료를 분석, 1차 유치원 교육과정부터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기초 연구에서 유아 경제생활 교육의 필요성 및 방향, 목표, 내용, 방법의 준거를 도출하였다. 실천적 준거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어머니와 교사의 경제교육 인식 및 실태를 조사한 기초연구, 유아 경제교육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로 공동체적 유아 경제생활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을 알아보는 기초 연구와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지침에 따른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서 나타난 경제교육내용을 분석한 기초 연구를 통해실천적 준거를 도출하였다. 또한 경제생활 교육에 적합한 동화 선정을 위한 내용을 분석이 이루어지고 이를 기초로 유아 경제생활 교육을 위한 Kolb의 경험학습 교수-학습 방법의 적합성을 알아보는 기초 연구를 분석하여 교육방법에 대한 실천적 준거를 도출하였다. 9개의 기초 선행연구 분석에서 이론적 준거와 실천적 준거를 재구성하여 최종적으로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한 경험학습 중심의 공동체적 유아 경제생활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del of community-oriented economic life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with experimental learning. To achieve this purpose, theory-based criteria and practice-based criteria were extracted by nine researches. The procedur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ory-based criteria for the purposes and objectives, contents, methods of economic life education were found out by examining references related to economic life, economic education and analyzing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from the first version to latest revised version in 2007. Second, practice-based criteria were found out by surveying mother`s awareness of econom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eacher`s awareness and practice of econom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a questionnaire, surveying the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from the experts of economic lif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Delphi,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economic life education in th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ies. Also, practice-based criteria were found out by analyzing and selecting the economic-fairy tales, examining the fit of Kolb`s experimental learning and economic lif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theory-based and practice-based criteria, the model of community-oriented economic life education program based o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with experimental learning was developed.참고 자료
없음"미래유아교육학회지"의 다른 논문
Schiller와 Dewey 미학이론의 유아교육적 함의21페이지
특집 : 신진우수논문 선정 ; 유아의 지능과 실행기능간의 관계18페이지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연구를 통해 본 유아다문화교육25페이지
어머니와 교사의 유아기의 발달에 대한 기대와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26페이지
특집 : 신진우수논문 선정 ; 부설유치원장들의 삶과 경험의 의미 연구24페이지
특집 : 신진우수논문 선정 ; 유아교육기관장의 직무수행 실태에 관한 연구22페이지
장애 관련 과목 수강에 따른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근접감에 관한 연구24페이지
유아의 연령 간 교류를 위한 친사회성 증진 버디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 탐색22페이지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20페이지
예술적 접근을 통한 유아과학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반응에 대한 질적 연구3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