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老舍)의 『월아아(月牙兒)』과 토마스 하디의 『더버빌가의 테스』에 관한 비교연구 -비극적인 삶의 요인을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인문연구 / 60권 / 289 ~ 326 페이지
ㆍ저자명 : 김명균 ( Myung Kyun Kim ) , 유재성 ( Jae Sung You )
ㆍ저자명 : 김명균 ( Myung Kyun Kim ) , 유재성 ( Jae Sung You )
한국어 초록
본고는 집필시기가 서로 다른 동서양 문학 작품, 중국의 현대문학과 영국 빅토리아시대(1837~1901)의 문학작품을 비교한 것으로 비록 많은 어려움과 힘든 점이 있을 수 있으나 문학의 중요한 특성인 보편성 탐구와 당시의 문화 비교라는 측면에서 출발하였다. 세계문학의 보편성을 정립할 때, 반드시 자국의 문학과 타국의 문학을 상호 비교를 통해야 한다고 강조되고 있는 바, 본고는 평행비교분석의 연구방법으로 사실적인 영향관계가 전혀 없지만 공통적으로 여성의 비극적 삶을 다룬 老舍의 작품 ≪月牙兒≫과 토마스 하디의 작품『더버빌가의 테스(Tess of the d`Urbervilles)』을 선정하여, 작품속에서 비극적인 요소가 어떻게 전개되어 가는지, 그리고 당시의 시대적인 상황과 가부장적인 남성중심사회에서 여성의 위치로 인해 여주인공의 비극적 상황들이 어떻게 펼쳐지는지를 주인공 ``나``와 ``테스``를 통해 비교 탐구하고자 한다.영어 초록
Despite the difficulties in comparison of literature works,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universality of literature and to compare culture of both works between Chinese contemporary literature and literature of the Victorian era (1837~1901). Two works have different writing time. When we found universality of world literature, we think of comparative study on our own literature and foreign literature. We will study the main characters of both works through the study method of parallel comparative analysis. Laoshe`s Crescent Moon speaks on behalf of lower-class women including prostitutes` life at that time. It is evident that the male-oriented society limits the social role of women as a target for men`s sexual desires in Laoshe`s work. Thomas Hardy said that the original tragic factors come from Immanent Will. The main characters of both works fight against their own fatal absurdities in their human societies. They were fatal women unable to handle with tragic factors. Laoshe and Hardy show strong images of women struggling against reality at that time. Finally we can say that one work doesn`t influence on the other work.참고 자료
없음태그
"인문연구"의 다른 논문
줌파 라히리의 『네임세이크』와 이주시대의 상상계38페이지
물신주의의 가치16페이지
점(點)과 선(線)의 고대사 -중국 동북 "예맥(濊貊)"의 경우-18페이지
표상되는 조선, 동요하는 제국42페이지
세계화론의 이데올로기적 허구성 -칼 폴라니와 맨프레드 스티거의 논의를 중심으로-36페이지
이병주의 『관부연락선』에 나타난 인물의 내면의식 고찰 -유태림을 중심으로-22페이지
글쓰기의 관점에서 본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실제와 향방 -영남대 사례를 중심으로-36페이지
샘 셰퍼드의 『지옥의 신』에 나타난 9/11 이후의 사회적 상상계와 제국적 글로벌리즘26페이지
20세기 전반 영국 모리스 모터스(社)와 옥스퍼드 지역경제32페이지
라틴아메리카의 세계화와 반세계화 -사파티스타운동과 저스티스 글로벌리즘-4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