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캠퍼스북
  •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심성계발 텍스트로서의 왕유 선시 연구

*의*
최초 등록일
2008.03.05
최종 저작일
2007.07
110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시 텍스트를 심성계발 도구로 삼을 수 있는 가능성을 내면화 과정의 체계에 입각하여 살펴보았습니다. -<심성계발 텍스트로서의 왕유 선시 연구>

목차

제1장 緖論
제1절 연구 동기 및 목적
제2절 연구 현황 검토
제3절 연구 방법 및 범위

제2장 禪詩와 心性啓發
제1절 禪詩
1. 기원과 발전
2. 심성계발적 특성
제2절 禪詩 감상을 통한 心性啓發
1. 기본 개념과 목표
2. 방법 및 단계

제3장 王維 禪詩와 禪意境 形成
제1절 王維와 禪詩
1. 창작 배경
2. 선어시와 선의시
제2절 禪意境의 형성 배경
1. 자연관
2. 심미관

제4장 王維 禪意詩에 나타난 禪意境
제1절 자연경물과 淸逸閒淡
제2절 자연현상과 超脫寂靜
제3절 자연인과 無我之境

제5장 禪意境의 內面化를 通한 心性啓發
제1절 수용과 반응
제2절 자각과 동화
제3절 가치화와 인격화

제6장 結論

參考文獻
附錄
中文提要

본문내용

心性啓發 텍스트로서의 王維 禪詩 硏究

王維는 알려진 바와 같이 杜甫, 李白 등과 함께 唐代 대표 시인으로 꼽힌다. 그가 살았던 唐代는 儒․佛․道 三敎가 공존하여 정치, 사회, 문화 등 각 분야에서 상호 간 많은 영향을 주고받았다. 특히, 佛敎는 魏․晉 시대에 전래되어 唐代 크게 유행하였는데, 각 분야 전반에 걸쳐 심원한 영향을 주어 그 시대 유산 곳곳에 흔적이 남아있다.
따라서 당대 문인들 대부분이 문학작품에 불가적인 내용을 담기 마련이었고, 偈頌, 禪語錄, 禪詩와 같은 禪文學이 발달하였다. 특히 唐代는 佛敎 禪宗의 유행과 더불어 詩歌 역시 최고조로 발달하던 시기였던 터라, 寒山子, 拾得, 王維와 같은 뛰어난 禪詩 작가가 배출되었다. 그 중 王維는 ‘詩佛’이라고 불렸을 정도로 佛敎 禪宗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山水自然詩의 대가로도 꼽힐 만큼 자연에 대한 애정이 깊었으며, 표현은 쉬우면서 묘사는 아름다웠다. 그의 禪詩에 선적 흥취가 묻어나오는 작품이 많은데, 그러한 禪詩 창작에 있어서도 자연적 요소를 제재로 삼아 자주 등장시켰다. 이를 통해 그가 산수경물을 가까이하면서 인류의 보편정신 및 삶에 내포된 인생철리를 깨달았음을 가히 짐작해 볼 수 있다.

<중 략>

현실에서의 우리는 시시때때로 외적 혹은 내적 요인으로 인해 많은 고민과 갈등의 과정을 겪기 마련이다. 특히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현대사회의 환경은 우리에게 기능적이면서도 변화에 유연한 인간으로 거듭나도록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적응해 나가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만 하는 것이 현대인의 과업이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극심한 스트레스와 긴장이 가중되어 정서적 불안에서부터 심지어 신체적 고통까지 호소하고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
어떠한 난관에 봉착하든 그 과정 속에서 우리는 각자 나름대로의 고통해소법을 운용하게 될 것이다. 그 중 문학을 만나는 일은 그것의 기능적 측면을 보아도 삶의 힘든 여정에서 자칫 흔들릴 수 있는 정서의 안정에 크게 도움이 된다. 최근 국내에서도 새로이 각광받기 시작한 독서치료나 시치료 등 문학치료 분야에서의 연구 활동이 그 가능성을 증명해 준다.

참고 자료

荀子, 『漢文大系15』, 민족사, 1982.
莊子, 안병주․전호근, 『莊子』, 전통문화연구회, 2001.
『舊唐書』, 北京: 中華書局, 1997.
『新唐書』, 北京: 中華書局, 1997.
(唐)六祖慧能, 郭朋 註釋, 『壇經』, 成都: 巴蜀書社, 1996.
(宋)道原, 譯經委員會 譯, 『景德傳燈錄』, 東國大學校 東國譯經院, 1986.
(宋)蘇軾 撰, 『東坡題跋』,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95.
(宋)魏慶之, 『詩人玉屑』,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78.
(宋)朱熹, 성백효, 『論語集註』, 전통문화연구회, 1997.
(宋)朱熹, 성백효, 『孟子集註』, 전통문화연구회, 1991.
(宋)朱熹, 최봉수, 『性理大全』, 이화문화출판사, 1996.
(元)方回, 『瀛奎律髓』,「叢書集成續編․文學類」, 臺北: 新文豐, 1989.
(明)王鏊 撰, 『震澤長語』,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65.
(明)胡應麟, 『詩籔』,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81.
(淸)郭紹虞編, 『清詩話續編』上中下冊, 臺北: 木鐸出版社, 1983.
(淸)趙殿成 纂注, 『王右丞集』,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68.
(淸)趙殿成 箋注, 『王右丞集箋注』,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98.
(淸)趙殿成 箋注, 『王摩詰全集』卷13, 臺北: 世界書局, 1974.
(淸)趙殿成 箋注, 『王摩詰全集箋注』, 臺北: 世界書局, 1998.
(淸)彭定求 外, 『全唐詩』, 北京: 中華書局, 1960.
劉維崇, 『王維評傳』, 臺北: 正中書局, 1972.
陳鐵民 校注, 『王維集校注』, 北京: 中華書局, 1997.
『初發心自警文』, 通度寺, 1962.
無比, 『金剛經五家解』, 불광출판부, 1995.
朴三洙, 『詩佛 王維의 시』, 세계사, 1993
석지현, 『선시감상사전』, 민족사, 1997.
申卿熙, 『無門關』, 서울: 保林社, 國際佛敎徒協議會, 1986.
王洪, 『中國禪詩鑑賞辭典』, 中國人民大學出版社, 1992.
嚴羽, 郭紹虞 교석, 김해명․이우정 옮김, 『창랑시화』, 소명출판, 2001.
耘虛龍夏, 『佛敎辭典』, 東國譯經院, 1986.
이승훈, 『문학상징사전』, 고려원, 1995.
周裕鍇, 『中國禪宗與詩歌』, 高雄: 麗文文化, 1994.
周祖譔, 『中國文學家大辭典』唐五代卷, 北京: 中華書局, 1992.
진 쿠퍼, 이윤기, 『그림으로 보는 세계문화상징사전』, 까치글방(87), 1996.
何建章, 『戰國策注釋』(上)(中)(下), 北京: 中華書局, 1990.
葛兆光, 정상홍 역, 『선종과 중국문화』-「중국 문화의 발전과정 속에서 본 선종」, 동문선, 1991.
고려대학교 교육사·철학연구회 , 『인간주의 교육사상』, 내일을 여는 책, 1996.
丘仁煥, 丘昌煥, 『文學槪論』, 서울: 三知院, 1987.
―――, 『문학교육론』, 서울: 三知院, 1992.
권기호, 『선종의 세계』, 경북대학교출판부, 1991.
金麗玉, 『心性開發指導의 實際 : 정의 교육을 위한 집단 경험 학습』, 광덕문화사, 1978.
金純澤, 『情意的 特性과 學業成就』「學業成就의 要因」, 敎育出版社, 1977.
金億洙, 『王維硏究 : 宗敎 藝術與自然之 融合』, 亞細亞文化社, 1986
김운학, 『불교문학이론』, 일지사, 1981
김정환, 『교육철학』, 박영사, 2003.
김종해, 『禪의 정신의학』, 한강수, 1996.
杜松柏, 『선과 시』, 민족사, 2000.
朴三洙, 『당시의 거장 왕유의 시세계』, 울산대학교 출판부, 2006.
박영만․송민영, 『통합교육과정과 전인교육 : 21세기 교육의 홀리스틱 패러다임』, 학지사, 2003.
박이문, 『예술 철학』, 문학과 지성사, 2006.
박희준, 『선의 이해를 위하여』, 대원정사, 1988.
백훈승, 『피히테의 자아론』, 신아출판사, 2004.
변학수, 『통합적 문학치료』, 학지사, 2006.
볼프강 이저, 『독서행위』, 신원문화사, 1993.
孫昌武, 『禪思與詩情』, 北京: 中華書局, 1997.
性徹,『頓悟入道要文論 講說』, 藏經閣, 1986.
스즈키 다이세쯔(鈴木大拙), 『禪의 진수』, 고려원, 1987.
야나기다 세이잔, 추만호·안영길, 『선의 사상과 역사』, 민족사, 1992.
吳思敬, 『詩歌鑑賞心理』, 臺北:揚智, 2005.
袁行霈, 『中國詩歌藝術硏究』, 北京:北京大學出版社, 1987.
李亮偉, 『涵泳大雅 : 王維與中國文化』, 北京: 中華書局, 2003.
이병한, 『중국시와 시인-당대편』, 사람과 책, 1998.
이해원, 『황하에 흐르는 명시』, 현학사, 2004.
入矢義高, 신규탁, 『禪과 문학』, 藏經閣, 1993.
張法, 유중하 역, 『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푸른숲, 1999.
丁 敏 外, 『佛學與文學』, 臺北: 法鼓文化, 1998.
鄭性本, 『中國 禪宗의 成立史 硏究』, 民族社, 2000.
中村元, 김지견 역, 『중국인의 사유방법』, 까치, 1990.
陳鼓應, 『莊子今註今譯』, 香港:中華書局, 1991.
陳允吉, 一指 옮김, 『중국문학과 禪』, 민족사, 1992.
C. A. S. 윌리엄스, 이용찬 외, 『중국문화 중국정신』, 대원사, 1989.
E.프롬 외, 金鎔貞 역, 『禪과 精神分析』, 정음사, 1987.
존. C. H. 우, 김연수 옮김, 『禪의 황금시대』, 한문화, 2006.
Nancy Wilson Ross, 『The World of Zen』, New York: Vintage Books, 1960.
Watts, Alan, 『The Way of Zen』, New York: Pantheon Books, 1956.
강계화․손은령, 「문학텍스트를 통한 인성교육」, 교육발전논총,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06.
康全誠, 「試說王維山水田園詩的美學價值」, 遠東技術學院, 『遠東學報』제22권 제2기, 2005.
고팔미, 「唐代의 禪宗思想과 王維詩歌의 禪意」, 『中語中文學』第27集, 2000.
권기호, 「禪詩에 나타난 禪思想」, 계명대 한국학연구소, 『한국학논집』, 1995.
金美善, 「映湖 禪師의 禪詩」, 한국한문고전학회, 2004.
金億洙, 「王維硏究-宗敎,藝術與自然之融合」, 臺北: 中國文化大學 碩士論文, 1985.
김지영, 「자연물의 범주 및 속성에 관한 유아의 인과 사고 발달 연구」, 한국교육학회 부산지회, 부산교육학연구, 1998.
노명완, 「Bloom의 교육 목표 분류 체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 -몇 가지 국어교육계의 논쟁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00.
노창수, 「텍스트 접근의 문학교육」, 한국어교육학회(구-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국어교육, 1997.
杜昭莹, 「王維禪詩硏究」, 臺灣: 輔仁大學 석사논문, 1993.
박선영, 「大乘佛敎의 價値觀에 立脚한 敎育哲學 定立을 爲한 分析的 硏究」, 고려대 교육대학원, 1974.
朴永煥, 「蘇軾禪詩에 나타난 空觀 고찰」, 한국중문학회, 2000.
―――, 「宋代 蘇軾의 시와 선」, 『계간지 유심』, 2003.
박지숙, 「禪心理治療의 方法論 考察」, 『韓國禪學』6, 한국선학회, 2003.
박채형, 「쉴러의 ‘心性敎育論’에 나타난 敎育의 理想으로서의 自由」, 한국도덕교육학회, 『도덕교육연구』제13권 1호, 2001.
배다니엘, 「중국 자연시의 창작심리 고찰」, 『중국연구』제27권, 2001.
―――, 「중국 고전시론에서 이루어진 "자연" 개념 논의 고찰」,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제25권, 2003.
―――, 「선취(禪趣)가 투영된 자연시의 미적 특징」, 중국학연구회, 『중국학연구』제32권, 2005.
송행근, 「선종의 中國詩歌에 대한 영향과 그 공헌- 唐代詩歌를 중심으로」, 『백련불교논집』제9집, 1999
―――, 「盛唐에 나타난 禪詩 考察」, 중국인문학회, 『중국인문과학』제22집, 2001.
沈政賢, 「山水空靈意境表現之探究」, 臺北: 國立臺灣師範大學 碩士論文, 2005.
安熙珍, 「蘇軾 詩學의 反常合道를 論함」, 중국문학학회, 『中國學論叢』7, 1998.
王詠雪, 「王維詩中禪意境之硏究」, 臺北: 國立臺灣大學 碩士論文, 1997.
柳晟俊, 「王維詩的‘以禪入詩’之特色」, 『中國唐詩硏究』, 국학자료원, 1994.
이계학, 「종교와 심성교육」,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 연구』제5호., 1998.
이광운, 「로버트 블라이 시의 선시적 특성」, 한국아메리카학회, 『미국학 논집』34권 1호, 2004.
李大聖, 「大通神秀의 北宗禪 硏究」, 東國大學校 佛敎大學院 석사논문, 1994.
李東鄕, 「王維의 山水詩와 禪理」, 중국어문연구회, 『中國語文論叢』제16집, 1999.
이은윤, 「선종 오가의 시가의 경계(1)(2)」, 만해사상실천선양회, 『계간지 유심』, 2002.
이병진, 「쉴러의 미적교육론에서의 미적자유개념」, 문예미학회, 『문예미학』, 1996.
이종찬, 『韓國禪詩의 이론과 실제』, 이화문화출판사, 2001.
李晉吾, 「印度의 Dhammapada와 漢文文化圈의 禪詩比較」, 한국비교문학회, 1998.
―――, 「전통미학 범주이론 분석」,『문창어문논집』제37집, 문창어문학회, 2000.
이찬훈, 「불이사상과 불교미학」, 인제대학교, 2003.
林宅圭, 「全人敎育을 爲한 古典指導의 效率的 方案」,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4.
慈明, 「禪文學의 世界」-禪詩를 중심으로, 한국불교학회, 1992.
蔣力餘, 「詩歌禪境美感特徵初探」, 동양예학회, 동양예학, 2000.
장성모, 「인성의 개념과 인성교육」,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제10집, 1996.
전소영, 「왕유의 선사상과 선시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2005.
鄭德秀, 「王維詩의 禪意 小考」, 한국외대 외국학종합연구센타 중국연구소, 중국연구, 2001.
정상홍, 「중국의 시론과 화론Ⅰ - 산수시와 산수화」, 『계간지 신생』제2호, 1999.
鄭性本, 「禪의 수행과 깨달음의 내용」, 한국불교학회, 『한국불교학』, 2005
정민, 「현대문학: 의경론(意境論)으로 읽는 현대시 두 수」, 한국언어문화학회, 한양어문, 2000.
조은정, 「왕유 ‘선시’ 연구」, 한양대 대학원 석사논문, 2003.
조현덕, 「古典詩歌學習指導에 關한 硏究」,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3.
朱我芯, 「王維詩歌的抒情藝術硏究」, 臺北: 東海大學 碩士論文, 1988.
진란미, 「심성계발 교육이 자아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 교육대학원, 1998.
차주환, 「중국시 산책 5-司空圖와 詩의 風格」, 『진리의 벗이 되어』제53호, 성천문화재단, 2001.
최소영, 「시문학의 치료적 조망」,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석사논문, 2004.
최일의, 「의경의 개념 분석」,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01.
최정연, 「왕유의 회화관」, 한국미학예술학회, 미학 예술학 연구, 1992.
彭政德, 「王維禪詩創作技巧與藝術風格之硏究」, 玄奘人文社會學院, 中國語文硏究所, 2001.
계간지 유심 http://www.yousim.co.kr
부다피아 www.buddhapia.com
탄허닷컴 http://www.tanheo.com
한국독서치료학회 http://www.bibliotherapy.or.kr
한국시치료연구소 http://poetrytherapy.or.kr
한국심성교육개발원 http://www.edumental.org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의*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심성계발 텍스트로서의 왕유 선시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