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기(開化期) 교과서(敎科書)의 한자(漢字),한자어(漢字語) 교수(敎授)-학습(學習) 방법(方法)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자한문교육 / 18권
ㆍ저자명 : 남궁원 ( Won Namgung )
ㆍ저자명 : 남궁원 ( Won Namgung )
한국어 초록
본고의 목적은, 개화기 교과서들을 분석하고 그 교과서들에 나타난 한자 및 한자어 교육 방법이 어떠한 것인지를 조사하는 데에 있다. 개항 이후 한자 교육 관련 변화가 많았다. 개항 후 일본을 다녀온 이들은 일본의 근대식 교육 상황을 보고했다. 1894년 과거제가 폐지되고 또 국문을 중시하는 어문 정책이 정해졌다. 각종 시험에서도 국문이 중시되면서 한문의 위상이 낮아졌다. 한자 교육을 효율적으로 해야 하는 여건이 되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 여러 교과서들이 한자 교육 변화를 시도하였다. 한자의 교수-학습 방법을 친절하게 직접 제시한 교과서가 있다. 『速成漢字課本(속성한자과본)』, 『婦幼獨習』 등이 그 예이다. 편집과 구성을 통해 교수-학습 방식을 간접적으로 보인 교과서도 있다. 선교사 J.S.Gale의 『유蒙千字』시리즈가 대표적이다. 한자의 의미 관계를 중심으로 한 교과서들이 있다. 아학편과 같이 동일한 범주 안의 한자들을 묶어 제시하는 방식으로 구성한 교과서들이 있다. 『正蒙類語』가 그 예이다. 개화기 한문 교과서들은 전통적 방식으로부터 탈피하려고 노력하였다. 새로운 시도이긴 했으나 획기적이지는 못했다. 하지만 변화된 여건에서 한자와 한문의 위상을 높이려 한 노력은 높이 평가해야 한다.영어 초록
The aims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Gaehwagi`s textbooks and examine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 and Words written Chinese character described these textbooks. After the Opening of trade ports, the changes were more than before, especially concerning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he government official came back from Japan, and they reported progress about modern education in Japan. In 1894, Gwageoje, classical examination system for the governments service, was abolished. Also, those days lay emphasis on Korean about language education. Each test even concentrate on Korean, relatively may get lower Chinese writing. So, scholars needed to raise the efficiency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o cope with the situation, many textbooks tested the waters. Some were direct about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 such as 「Sokseonghanzagwabon」, 「Buyudokseup」 and more. Others referred to indirect thru editing and makeup, like 「Yumongcheonza」series by missionary J.S. Gale. Textbooks could also stress on semantic net of Chinese character. These lined up same categories about Chinese character, like 「Jeongmongyueo」. Besides, textbooks made up units considering systematization. For example, 「Hanmunipmun」 was got up by government. This book was closely connected units. Textbooks contents were repeated and linked with units. Gaehwagi`s textbooks were different from previous textbooks. These were new but didn`t mark an epoch. It should stand high in estimation in upgrading phase of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writing at varying conditions.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자한문교육"의 다른 논문
『해동사부(海東辭賦)』의 수록(收錄) 작품(作品) 양상(樣相)과 편찬(編纂)의 지향성(志向性)22페이지
유아(幼兒) 한자(漢字) 교육(敎育)의 현황(現況)52페이지
보만재(保晩齋) 서명응(徐命膺) 산문(散文)의 일고찰(一考察) -역학(易學) 중심의 학문관과 연관하..26페이지
송강(松江)의 한시(漢詩)에 나타난 자연관(自然觀)34페이지
초등학교(初等學校) 한자(漢字) 지도(指導) 단계(段階)와 방법(方法)31페이지
기조 강연(基調 講演) : 변화(變化)에 대응(對應)하는 한자(漢字),한문교육(漢文敎育)7페이지
현행(現行) 고등학교(高等學校) 한문교과서(漢文敎科書)의 변천(變遷) 연구(硏究) -<한자(漢字),..59페이지
언어(言語) 학습(學習) 이론(理論)을 통한 한자(漢字) 교육(敎育) 시고(試考)37페이지
신문(新聞),방송(放送)을 활용(活用)한 한자(漢字),한자어(漢字語) 교수(敎授)-학습(學習) 방법..30페이지
뢰계 유호인(兪好仁)의 「동도잡영(東都雜詠)」 시(詩) 일고(一考)2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