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규범의 근거로서 친친(親親) 존존(尊尊)의 정당화 문제 (Justification of chinchin and jonjon as the basis of norms.)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08.05
41P 미리보기
규범의 근거로서 친친(親親) 존존(尊尊)의 정당화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54호 / 131 ~ 171페이지
    · 저자명 : 박례경

    초록

    친 존존이 예 규범의 근거로 정당화될 수 있는가는 결국 양자의 조화 가능성을 찾아내는 문제이다. 친친 존존을 예 규범의 근거(원리)로 이해하는데 있어서 법가의 전제주의적인 존군(尊君) 주의를 존존의 함의에서 과도하게 강조할 경우, 친친과 존존은 예 규범 안에서 긴장과 갈등 관계에 있게 되어 상호 모순적으로 이해되거나 의미의 교란을 가져오게 된다.
    종족조직과 국가조직의 모순을 분봉제를 통해 해소시켰던 주대와는 달라진 전국시기 종법 현실 속에서, 유가는 법가적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도 법가의 이기심에 기초한 친친 존존의 상극의 논리를 거부하고 다양한 존존의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맹자의 존군은 종족 내부의 존장자에 대한 공경심의 연장이라는 점에서 하나의 대안이긴 했지만, 이미 종족을 넘어서는 국가를 구상해야했던 현실을 적시한 순자는 사회적 질서와 정치적, 법적 일관성을 강력하게 주도하면서도 지성과 도덕성을 갖춘 존군을 존존의 내용으로 제시함으로써 친애의 정감과 괴리되지 않는 자발적인 허여와 애호의 감정을 존존의 원리 안에 수용하고자 노력하였다.
    『예기』는 종족 내부의 수직적 질서인 존조경종(尊祖敬宗)을 존존의 내용으로 제시함으로써 친애의 감정과 존존의 원리가 상호 배척하지 않는 내적 기제를 마련하였다. 이 존조경종의 논리는 한 대 이후 유가적 왕권을 국가의 예제적 법규범으로 객관화하는데 중심적인 원리로 작용함으로써, 전통적인 예 규범의 근거로서의 친친 존존을 정당화하는 데에 가장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issue of whether chinchin(feelings of love for one's family) and jonjon jonjon (respect for noble people or values) can justifiably become the basis of courtesy norms is ultimately a matter of finding the possibility of harmonizing the two concepts. In understanding chinchin and as the basis or principles of courtesy norms, when loyalty toward the sovereign, which is the absolute foundation for the legalist thought, is described as being based on the courtesy norms of Confucianism using the content of jonjon, the concepts of chinchin and jonjon come to have a tense and conflicting relationship within the courtesy norms, either understood as being mutually contradictory or bringing about confusion of meaning.
    In the Zhou Dynasty, the conflict between clans and the state had been resolv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 feudal system, but during the period of the warring states, clan rules were followed. Although Confucianists shared the legalists' perception of the problems of their period, they rejected the incompatible logic of chinchin and jonjon based on egocentrism that was being presented by the legalists, and instead tried to overcome the problems by presenting various ideas of jonjon. Mencius' concept of being loyal to one's sovereign was one alternative in that it was an extension of the veneration given toward the elders in one's clan, but Hsun-Tzu, who was already keenly aware of the need to conceive a state that could transcend clans, strongly promoted social order and political, legal consistency on the one hand, and presented a sovereign who was both intelligent and moral as the idea of jonjon on the other. In this way, he tried to accommodate within the principle of jonjon the feelings of love and voluntary approval and devotion without estrangement. LiJi(The Record of Rites) presents jonjon as revering the ancestors and honoring the elders that maintained the hierarchical order within a clan, thus establishing an inner mechanism in which feelings of love and the principles of jonjon were not mutually exclusive. This logic of revering the ancestors and honoring the elders served as a central principle in objectifying the Confucian authority of the king after the Han Dynasty into a ritual legal norm of the state, and thus plays a most central role in justifying chinchin and jonjon as the basis of traditional courtesy nor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