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족 여성에 대한 한국 상업영화의 민속지적 상상 (Ethnographic Imagination of Korean-Chinese Female Characters in South Korean Popular Film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9 최종저작일 2017.08
31P 미리보기
조선족 여성에 대한 한국 상업영화의 민속지적 상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현대영화연구 / 13권 / 3호 / 103 ~ 133페이지
    · 저자명 : 조진희

    초록

    이 논문은 <댄서의 순정>, <웨딩 스캔들>, <미씽: 사라진 여자>, <악녀> 등의 네 작품들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한국 영화산업이 조선족 여성들을 재현하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민속지로서의 역할을 논의하고 있다. 대표적 이주 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조선족 여성들은 물리적인 힘에 저항하거나 사회적인 압력에 대항할 능력이 없는 약자로 등장한다. 연민의 대상인 조선족 여성들은 이러한 멜로드라마틱한 설정에서 출발하여 위기에 빠진 그녀들을 구출해낸 남성과 사랑하게 되면서 ‘구출 서사’를 통해 사랑의 대상으로 전환된다. 한편 동정의 대상인 조선족 여성들은 온갖 핍박과 차별의 연속으로 인해서 극단적인 상황에 처하게 되며 마침내는 가해자들에게 복수를 꾀한다는 ‘복수의 서사’를 통해서 범법자로 전환되기도 한다.
    충무로 버전 조선족 여성들은 관객들로 하여금 소위 ‘조선족 여성’이라 지칭되는 사람들을 상상할 수 있을 단초를 제공해준다. 조선족 여성들을 친구로 둔다거나 이웃으로 가까이 접해본다거나 디아스포라로서 조선족의 생활상이나 역사에 대한 구체적 지식이 없는 한국인들의 상당수는 영화를 통해서 ‘조선족 여성’이라는 존재와 만나게 되는 것이다. 그 뿐 아니라 그녀를 통해서 ‘조선족 사회’를 엿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대중적인 민속지로서 조선족 여성들을 등장시킨 영화들은 단순히 조선족 여성이라는 정체성과 조선족 사회라고 하는 커뮤니티를 창조해낸다는 것이 아니라 이들이 한국인 여성이나 한국인 사회와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현재 한국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내부적 오리엔탈리즘을 재확인시켜주고 있다. 세계화라는 큰 흐름 속에서 한국 사회도 점차 다문화, 다인종 사회로 변모되어 가면서 새롭게 유입된 이주민들과의 접촉은 늘어나고 있지만 한국인들은 이주민들의 피부색이나 출신국가에 입각해서 개개인의 행동양식이나 문화수준을 상상하고 이를 기준으로 이주민 집단을 차등하고 있다. 네 작품들을 통해 ‘순수’, ‘자연’, ‘야성’ 과 ‘미개발’ 등을 표상하며 향수를 자극하는 한편 야만적인 ‘동양 속의 동양여성’과 ‘동양속의 동양 사회’는 이들과는 태생적으로 상이한 한국의 헤게모니를 강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way Korean-Chinese female characters have been represented in South Korean popular films. Ever since the mid 2000s, Korean film industry has produced four films in which Korean-Chinese women play central roles. Dancing Princess (2005), Wedding Scandal (2012), Missing (2016) and the most recently The Villainess (2017) introduce heroines as ‘innocent’ and ‘sympathetic’ characters who are destined to face patriarchical oppression, sexual abuse and ethnic discrimination. Depending on genre conventions, these sympathetic women become either lovely bride or ruthless criminals.
    Korean-Chinese female characters depicted in these films intensify domestic Orientalism perpetuating in South Korean society. Orientalism is the byproduct of Eurocentrism which first emerged as a discursive rational for colonialism. As an ideological substratum common to colonialist, imperialist and racist discourse, Orientalism permeates contemporary practices and representations even after the formal end of colonialism. The contemporary South Korean society must be one of the places where quite intense level of Eurocentric Orientalism can be observed. Koreans demonstrate binary attitude toward the so-called ‘Western’ settlers and the ‘Non-Western’ settlers. By analyzing the way Korean-Chinese women featured in these films reaffirm South Koreans’ Eurocentric Orientalism, this paper criticizes their socio-political fun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