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겨움의 도덕적 지위에 관하여 (On the Moral Status of Disgus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8.09
34P 미리보기
역겨움의 도덕적 지위에 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22호 / 51 ~ 84페이지
    · 저자명 : 장대익, 이민섭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역겨움에 관한 최근의 심리학 및 철학적 연구들을 바탕으로 도덕적 역겨움의 기원과 기능, 그리고 그것의 규범 윤리학적 함의를 탐구하는 것이다. 역겨움이 도덕성에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이들은 많지만, 그 영향이 정확히 무엇이고 어떻게 생겨났는지, 그리고 어떤 한계를 지니는지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시도하는 이들은 드물다. 우리는 하이트의 도덕 기반 이론, 켈리의 얽힘 논제, 그래이의 쌍 도덕 이론을 중심으로 독성 회피 반응으로 시작된 역겨움이 어떻게 도덕적 역겨움으로 확장되었는지를 검토한다. 그 결과 이러한 역겨움의 이행 과정에 대해 하나의 설득력 있는 진화론적 이해에 도달한다. 또한 우리는 도덕적 역겨움에 대한 과학적 사실들이 규범 윤리학적 논의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첫째, 도덕 기반론자와 쌍 도덕론자 사이의 논쟁에 대한 새로운 해법을 제시한다. 그것은 도덕적 역겨움이 작동했던 집단 규모의 통시적 차이가 두 이론을 양립가능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둘째, 우리는 도덕적 역겨움이나 위해 지각에 근거한 규범 윤리학이 부적절할 수밖에 없는 이유들을 제시한다. 이런 논증을 통해 우리는 역겨움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더 깊은 이해에 도달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origins and functions of moral disgust and their implications for normative ethics based on recent psychological and philosophical studies of disgust. There are many people who accept the fact that disgust has a huge influence on morality, but very few are trying to gain an integrated nderstanding of exactly what that influence is, how moral disgust came about, and what limits it has. While we critically examine Haidt’s moral foundations theory, Kelly’s entanglement thesis, and Gray’s dyadic theory of morality among a few good theories, we explore how the disgust that started with the toxic avoidance response extended to moral disgust via infection avoidance reaction. As a result, we arrive at a convincing evolutionary understanding of the transition from physical disgust to moral one. We also discuss how scientific facts about moral disgust can be linked to normative ethics. In this process, we first present a new solution to the recent debate between the moral foundations theorists and the dyadic theorists of morality. We argue diachronic difference in the group size in which moral disgust worked makes the two theories compatible. Second, we present reasons why normative ethics based on moral disgust or even mind perception is inadequate. Through these arguments, we seek to reach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oral status of disgu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