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은교 시에 관한 불교생태학적 고찰 (A Study of Buddhistic ecology in Kang Eun-kyo's poem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30 최종저작일 2014.03
24P 미리보기
강은교 시에 관한 불교생태학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40호 / 35 ~ 58페이지
    · 저자명 : 김지연

    초록

    본고는 강은교의 『풀잎, 『빈자일기』, 『어느 별에서의 하루』, 『등불 하나가 걸어오네』를 텍스트로 하여 진행된 불교생태학적 관점의 논의이다.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강은교는 자신의 체험에서 비롯된 허무의식으로써 공(空)의 세계를 대면하고 있다. 그가 인식한 공의 세계는 비실체성을 바탕으로 한다. 그런데 이때의 공은 일체의 것이 사라져버린 무(無)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아무 것도 없지만 무엇이든지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가진 무이다. 바로 이 지점에서 작품에 구현된 공의 세계관은 불교의 중도사상(中道思想)과 접맥된다.
    둘째, 불교의 비실체론적 존재관은 실체나 자아를 부정하고, 연기(緣起)라는 관계적 맥락에서만 존재를 이해한다. 강은교의 작품은 ‘인드라망’의 상상력에 기대어 연기의 중층적 사유를 잘 보여주고 있다. 연기의 관점에서 볼 때 존재란 무자성(無自性)이며 서로 상즉상입(相卽相入)하는 관계를 드러낸다. 그들은 작품 속에서 온 우주가 걸림 없이 융섭하는 사사무애법계(事事無碍法界)를 구현하고 있다.
    셋째, 강은교의 작품을 통해서 자비라는 불교적 실천 윤리를 읽을 수 있다. 시적 대상들에게서 흔히 드러나는 ‘의인화’는 불교생태학적 관점에서 볼 때 ‘자타불이(自他不二)의 문학적 수용’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그의 작품에서 체득한 자타불이의 동일성을 바탕으로 하여 삼라만상에 존재하는 불성을 잘 이해하고, 상호존중의 자비행(慈悲行)으로 나아가게 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d Kang Eun-kyo's poetic world in terms of Buddistic ecology. The discusse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Kang Eun-kyo shapes an 'Emptiness' world-view due to a sense of futility that originated from her own experience. The world of 'Emptiness' she recognized is nothingness that has potentialities which has nothing but can have anything. Thus this world-view is integrated with Buddhist's middle road idea.
    Secondly, Buddhist's non-substantial ontology denies both substance and self, appreciating a n existence in a relational text. In the same context, 'Indramang' metaphor clearly shows complicated form of dependent arising. Through her work, we can understand Indramang's thinking in terms of dependent arising.
    Thirdly, 'Compassion' is a practical morality to deal with the ecological crisis we faced. From the self identity experience learned from her work, we can understand the nature of Buddha existed in a subject and then go forward to compa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