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이쇼 시대 대중적인 여행의 발달과 조선 공간 인식 -『신일본구경(新日本見物)』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Popular Travel during the Taisho Period and the Recognition of Joseon Space - Focusing on “Sinnihon Kenbutsu”)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3.08
23P 미리보기
다이쇼 시대 대중적인 여행의 발달과 조선 공간 인식 -『신일본구경(新日本見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日本文化學報 / 98호 / 117 ~ 139페이지
    · 저자명 : 노윤지

    초록

    本研究は大正時代紀行文集『新日本見物:台湾·樺太·朝鮮·満州·青島之卷』(1918)に掲載された日本人知識人の植民地旅行記録を考察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大正時代は戦争の勝利と領土拡張という成功的な結果を収めた明治時代が終わり、国家の経済的安定によって新しい秩序と文明が中心となる新しい時代だった。大正時代から昭和半ばの戦時体制期に至るまで、「外地」日本を紹介する多くの旅行案内書や紀行文が刊行された。これらは新しい領土に対する肯定的な認識を目標として普及された。 本研究はユートピア的植民地幻想と理念が植民地の様々な空間でどのように具現されるのかを考察する。帝国日本が描いてきたユートピア的観念を想起し、紀行文を通じて大正時代のヘテロトピアとしての植民地空間がどのように具現されているかを把握しようとする。 ヘテロトピアは日常的に生きていく世界とは異なる異質な世界であり、全く違う体験、全く違う意識を持つようになる空間である。このような観点から、大正時代において日本の知識人たちが見た植民地の領土は現実の中のユートピア、すなわちヘテロトピアとして機能することになる。したがって植民地旅行案内書と紀行文などはユートピアへの通路であり、どこかに存在する理想郷に対する想念が続く契機として作用する。このような観点から旅行案内書と紀行文を新しく読むことで、被支配国という断片的な視線の中だけで眺望されてきた朝鮮を多層的複合的な面貌を持つ新しい空間として把握することを試みた。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Japanese intellectuals’ colonial tour records published in the Taisho period travel collection “Sinnihon Kenbutsu: Taiwan, Karafuto, Joseon, Manchuria and Qingdao” (1918). The Taisho period was a new era during which the Meiji era— which achieved successful results of war victory and territorial expansion—ended and the new order and civilization were centered on the country’s economic stability. From the Taisho period to the mid-Showa era’s wartime period, many travel guides and records introducing “outside Japan” were published. This study aims to discuss how colonial utopian fantasies and ideologies were implemented in various colonial spaces. Recalling the utopian concept that Japan has drawn, it seeks to grasp how colonial space as a heterotopia of the Taisho era is implemented through travel documents. Heterotopia, a world that is different from the one you live in, is a space where you have completely different experiences and consciousness. From this perspective, the colonial territory seen by modern Japanese intellectuals during the Taisho period functions as a real utopia or heterotopia. By reading new travel guides,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Joseon, which had only been viewed from the fragmentary perspective of the ruled country, as a new space with multi-layered and complex asp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文化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