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이남: 세컨드 에디션>을 통해 본 인터아트의 미학 (The Aesthetics of Interart through Lee Leenam: Second Editi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6.06
32P 미리보기
&lt;이이남: 세컨드 에디션&gt;을 통해 본 인터아트의 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드라마학회
    · 수록지 정보 : 드라마 연구 / 49호 / 197 ~ 228페이지
    · 저자명 : 주현식

    초록

    이 논문은 <이이남 : 세컨드 에디션>에서 형상화되고 있는 인터아트의 미학을 규명하려 한다. 본론 첫 번째 부분에서는 <이이남 : 세컨드 에디션> 이야기전개상의 형식적 측면, 특히나 ‘경계 전이(Metalepsis)’의 서사 기법을 논의한다.
    <이이남 : 세컨드 에디션> 공연 중 여러 예술 형태의 허구적 세계 간 상호 경계 침입이 빈번하다는 점에서 경계전이 현상은 인터아트의 국면을 서사학적으로 규명하기에 적합하다. 본론 두 번째 부분에서는 <이이남 : 세컨드 에디션> 이야기의 주제적 측면을 ‘반복의 역설’이라는 개념을 가지고서 검토한다. <이이남 : 세컨드 에디션>에서 이이남의 그간 창작 사례를 전형적 예로 해 이러한인터아트적 작업의 과정이 어떤 시각으로 간취되고 있는지 ‘반복’의 개념을 중심으로 본고에서는 고찰할 것이다. 본론 마지막 부분에서는 <이이남 : 세컨드에디션>의 인터아트 작업이 관객을 재구성하는 양상을 형식적 측면에서는 ‘경계 전이’의 서사기법을 통해, 내용적 측면에서는 ‘반복의 역설’의 개념을 통해논의하려 한다. 결과적으로 본론의 과정을 거쳐 <이이남 : 세컨드 에디션>의인터아트 미학이 서사적 형식, 주제적 내용, 그리고 관객의 수용 면에서 조망된다. 이이남 개인적 자전적 공연층위를 넘어 디지털 시대 인터아트적인 미디어 아티스트의 작업에 내포된 ‘세컨드 에디션’의 함의가 무엇인지가 이 논의를통해 규명될 것이다.
    회화, 미디어아트, 영화 그리고 연극 등 다층적 예술 양식의 허구적 세계 간에 빈번한 ‘경계전이’가 <이이남 : 세컨드 에디션> 공연에서는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장면들에서 회화, 디지털 미디어, 영화 그리고 연극과 관련된 몇 가지예술 표현 체계 사이의 교환과 연접, 그리고 혼재가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이이남 : 세컨드 에디션> 공연에서의 경계전이의 이미지들은 랑시에르 식의 ‘사색에 잠긴 이미지(Pensive Image)’의 측면을 전경화한다.
    <이이남 : 세컨드 에디션>은 이이남의 자전적 개인사를 무대화한 공연이기도 하지만 이를 초월한다.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 이이남과 같은 인터아트적미디어 아티스트가 필연적으로 겪게 되는 원본과 복제품의 진정성 논란이 이공연에서는 형상화되었다. 모든 곳에 있으면서 어느 곳에서도 있지 않고, 동일하면서도 차이를 생산하며, 복제본이 오히려 원본이 되는 반복 행위의 역설적양상은 이이남의 창작 과정뿐만 아니라 인터아트적이거나 트랜스미디어적인작품 생산의 일반적 모습을 시사한다.
    <이이남 : 세컨드 에디션> 공연 중 모니터 속 비어 있는 객석 이미지의 무대제시를 통해 구성되는 것은 기원의 죽음이다. 그것은 역진적 기억하기의 행위속에서 기원의 저장에 대한 ‘아카이브적 육동(Archival Drive)’을 차이로서 반복한다. 그럼으로써 사라짐의, 죽음의, 파괴의 ‘새로운 아카이브적 육동’을 관객에게 충동한다. 무대와 객석의 현실이 탄생 이전의 상태로 되돌려져 다시 작은모니터 안에, 미디어 안에 담김으로써 아우라가 사라진 디지털 복제시대 인터아트, 미디어아트 예술가의 역할은 과연 무엇이며, 사회적 장치로서 연극적 미디어는 어떤 기능을 담당하고, 관객의 주체성은 어떻게 발현될 것인지 <이이남<이이남: 세컨드 에디션>을 통해 본 인터아트의 미학▪199 : 세컨드 에디션>은 관객에게 성찰하기를 재촉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s aim is to explore the aesthetics of interart in Lee Leenam: Second Edition. Firstly, this paper discusses formal characteristics of story in Lee Leenam: Second Edition, especially narrative technique of 'metalepsis'. 'Metalepsis' is suitable for identifying the aspects of interart from narratology perspective, because intrusions between the fictional worlds of the various art forms are frequent during the performance. Secondly, this paper examines the thematic aspects of the story with the concept 'paradox of repetition'. Interartistic works is investigated considering the concept 'repetition', based on the creative process of Lee Leenam's works represented in Lee Leenam: Second Edition. Thirdly, how the interartistic process in Lee Leenam: Second Edition reconstructs the audiences is understood with regard to the narrative technique of 'metalepsis' in the formal aspects and the concept of 'paradox of repetition' in the thematic aspects. At the centre of this paper is illuminated the aesthetics of interart in Lee Leenam: Second Edition from narrative form, thematic contents, and audiences' acceptance. It will then develop a critical claim for thinking about theatre, inter-artist, and media artist in digital era.
    Firstly, metalepsis between the fictional worlds of the various art forms related with paintings, media art, cinema and theatre is taking place in Lee Leenam: Second Edition. Exchanging, connecting, and mixing among a few of artistic expressions happen in the performance. These metaleptic images foreground Jacques Ranciere's 'pensive image'.
    Secondly, this performance is about Lee Leenam's autobiographical history, but transcends it. Lee Leenam: Second Edition shows the controversial of authenticity related with the origin and copies that inter-artists inevitable experience in digital technology age. Paradox of repetition, that is, repetition is not anywhere else while staying everywhere, produces a difference while being same, and rather becomes the original while serving as copies, suggests the creative processes of general interart as well as those of Lee Leenam's works.
    Thirdly, it is death of the origin that is configured through a stage presentation of empty seats image in the monitor during performance. It repeats 'archival drive' on storage of origin as differences. It so urges a new archival drive of disappearance, death, and destruction to the audiences. The reality of stage and auditorium comes back before their birth, becomes smaller monitors, and visualizes in the media. In the digital age that the aura is gone, it urges audiences to examine what the role of inter-artists is, what functions theatre plays as a social apparatus, and how the subjectivity of audience expres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