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알렉산드르 1세 치세(1801~1825) 러시아 검열 (Russian Censorship during the Reign of Alexander 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6.04
26P 미리보기
알렉산드르 1세 치세(1801~1825) 러시아 검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유럽발칸연구 / 40권 / 2호 / 103 ~ 128페이지
    · 저자명 : 김용환

    초록

    이 글은 알렉산드르 1세 통치 24년 동안 검열의 변화 양상과 그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알렉산드르 1세 시대 검열 개혁의 특징은 행정 및 교육 체제의 개편과 동시에 진행되었다는 점에 있다. 중앙 행정 기관의 개편에 따라 교육부가 검열을 관장하게 되었고, 그 산하에 최고 검열 기관인 ‘중앙교육청’이 설립되었다. 검열 실무는 당대의 진보적 계몽주의자들로 구성된 대학 검열위원회가 수행하였다. 검열 개혁 과정에서 명문화된 법률의 불가피성이 대두되어 1804년 러시아 최초의 체계적인 정규 검열법이 제정되었다. 『1804년 검열법』은 러시아 검열법제사에서 가장 자유주의적인 것으로 평가 받는다. 그러나 1807년 시작된 프랑스와의 전쟁은 검열의 보수화를 초래한다. 1811년 국내 치안을 강화하기 위해 신설된 경찰부는 교육부가 전담해오던 검열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였다. 이로 인해 기존 교육부의 자유주의적 검열과 신설된 경찰부의 반동적 검열이 공존하는 이중 검열 체제가 조성된다. 1812년 ‘조국전쟁’ 승리 후 알렉산드르 1세는 국제 관계에서 종교-정치적 보수주의에 기초한 신성동맹을 주도하였다. 이것은 국가 통치 기조와 함께 검열의 반동적 전환을 의미한다. 알렉산드르 1세가 표방한 정교적 신앙을 토대로 한 보수화의 의지는 종교·교육부의 설립과 이를 통한 종교 검열의 강화로 나타났다. 종교 검열은 세속 검열의 영역에 광범위하게 간여함으로써 검열의 경향은 더욱 우경화되었다. 알렉산드르 1세의 치세는 통치 권력의 특성과 조응하는 검열의 본질을 명확히 보여주는 시기이다. 이 기간의 검열은 여러 요인에 의해 변화한 통치 기조와 연동해 초기 자유주의적 경향에서 점차 보수반동화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relations between the government power and the press by censorship during the Reign of Alexander I. The time limit of this study is from 1801 to 1825 a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restricted to press censorship. I made an attempt to establish this research on the basis of historical materials, how censorship came into action by the government power. I examined statute, official documents, contemporary accounts including memoirs, and articles related to censorship.
    Paul I died in 1801 and was succeeded by Alexander I, who revoked Paul’s latest laws. Continuing in the spirit of reform, Alexander I abolished the censorship officers and returned the importation of foreign works to its pre-1796 condition, which had been based on the Tariff Act of 1782. The new emperor valued and encouraged publishing. This was demonstrated by the government of Alexander I through the opening of presses, promoting advances in printing, subsidizing books and journals, and producing the most liberal censorship statute ever to appear in Imperial Russia. State universities and the Ministry of Public Education would become the principal censorship agencies, and relatively tolerant academics, many of them writers, would serve as censor, often in the role of attentive advisors to the authors in their charge.
    Alexander I approved a major censorship reform by creating the Ministry of Public Education in September 1802 and making it responsible for a new, centralized censorship system for secular works. For the first time, censorship acquired the positive stamp of serving to raise cultural and educational levels. The following year, the emperor named a powerful steering committee, a Chief Administration of Schools, to counsel the minister of public education and to oversee censorship reforms.
    By introducing the Statute of 1804 and placing censorship under the new Ministry of Public Education, Alexander I had forged good relations between his government and the private publishing industry. Given that Alexander I thought much like an eighteenth-century enlightened despot, the emperor used censorship and the press to advance knowledge. Alexander I staffed a censorship organization with easy-going university academics who were also writers. Only when the French loomed as enemies did the government tighten censorship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Ministry of the Police. For the most part, censorship was benign and loo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