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허 휴정(淸虛休靜)의 불이(不二) 염불과 근대 불교학 (Cheongheo Hyujeong’s Nondual (不二) Yeombul (念佛) and Modern Buddhist Studie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21.08
32P 미리보기
청허 휴정(淸虛休靜)의 불이(不二) 염불과 근대 불교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99호 / 419 ~ 450페이지
    · 저자명 : 강지언

    초록

    불이(不二)를 종지로 하는 선(禪)은 이원적인 서양 종교 연구의 개념과 틀로는 적절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국 불교학은 일제강점기에 근대 교육이 정착되며 근대 서양과 일본의 불교 연구를 바탕으로 성장하였다. 그 결과 서양과 일본 불교학을 내면화하면서 근대 불교와 불교학에 대한 비평적 성찰이 어려워졌다. 식민지기 일본에 의해 부정적으로 평가되었던 조선불교는 우리의 눈에 가리어져 있던 한국 선 연구의 필요성을 일깨워준다.
    선(禪), 교(敎), 염불(念佛)의 삼문(三門)을 수행체계로 제시한 청허 휴정(淸虛休靜, 1520-1604)은 염불 수행의 길을 제시할 때, 일물(一物) · 일념(一念)을 중심으로 이사불이(理事不二) · 체용불이(體用不二)의 입장에서 근기와 방편에 따른 다양한 염불 수행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휴정의 삼문은 법신과 불이의 맥락에서 해석될 필요가 있다.
    휴정 및 조선의 삼문수업(三門修業)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이원적 개념과 틀을 사용한 근대 서양과 일본 불교학의 해석에서 비롯된 것으로, 선 전통의 관점이나 한국 선이 가진 역사와는 부합하지 않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근대적 사유의 한계를 넘어 한국 선의 역사적 특수성, 조선불교에 대한 탈 근대적 해석, 불이라는 맥락을 고려한 선 연구, 현대 한국불교의 간화선 중심 포교에 대한 고찰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Chan, which values nonduality (不二), can not be properly explained by a western methodological approach that relies on dualistic concepts and frameworks. Starting with modern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Korean Buddhist studies were developed on modern western and Japanese Buddhist research. The introduction of modern Buddhism was hard on Korean Buddhist studies as Korean Buddhism was being internalized with western and Japanese criticisms. Choseon Buddhism, was recognized negatively by Japanese intellectuals in the colonial period, as they questioned the necessity of new Korean Seon studies, which had not been fully grasped at that time.
    Cheong-heo Hyu-jeong (淸虛休靜, 1520-1604), proposed three ways of learning in the form of Seon (禪), Gyo (敎), and Yeombul (念佛). This was a practical system, which saw Buddhist teachings and practice nondualistically through Hyujeong’s own concepts of ilmul (一物) and ilnyeom (一念). The Guan Shim Lun (觀心論) in particular influenced him as he considered it to be the Bodhi Dharma’s writing in Choseon. Thus, Hyujeong’s suggestion regarding Yeombul should be examined through the context of nonduality.
    The negative views and interpretations of Hyujeong and the three ways of learning (三門修學) were the products of dualistic interpretations by modern western and Japanese Buddhist studies. Seon was the representative sect of Korea which began during the Koryo period, and the three ways learning is an ongoing tradition in Korea today. Therefore, further studies on transcending the limits of modern thoughts, interpreting Seon through nonduality, and a critical examination of modern theories are called f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