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대면 온라인 수업방식의 전면적 시행 경험에 대한 체육계열 대학원생들의 어려움과 고민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Difficulties and Concerns of Graduate Students in the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on the Full Implementation Experience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30 최종저작일 2021.09
15P 미리보기
비대면 온라인 수업방식의 전면적 시행 경험에 대한 체육계열 대학원생들의 어려움과 고민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1권 / 18호 / 791 ~ 805페이지
    · 저자명 : 함지선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체육전공 심화과정을 이수하고자 진학한 체육계열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코로나 19 감염증으로 인하여 전면적인비대면 온라인수업이 시작되면서 겪고 있는 어려움과 고민에 대해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A대학교의 체육계열 대학원에 진학하여 2020년 1, 2학기 동안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수강한 대학원생 98명을대상으로 심층적 비구조화된 질문지를 작성하여 본교 대학원생들이 이용하는 대학원 lms 목록에 탑재해 놓았다. 질문지의 질문은세 가지로 자신이 경험한 온라인 수업에 대해 솔직하고 구체적으로 기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집된 98명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질적연구 자료의 대표적인 분석방법인 귀납적 범주분석과 해석적 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결과 이를 통해 체육계열 대학원생들은 디지털 기기 활용과 적응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원활한 온라인 수업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학교의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통한 디지털 인프라 구축이 우선시 되어야 할뿐 아니라 교수자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교육내용을 교육과정에 포함하여 그들의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대면 온라인 수업방식이 온전한 학습을 방해하고 있어, 이 때문에 학습에 있어서의 집중력 저하, 시험과 평가에 대한 공정성 및 신뢰성에 대한 불신, 교수자 또는 동료학생들과의 원활한피드백이나 의사소통의 문제 등이 발생하는 것에 대한 고민을 나타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대학별 또는 대상자 별, 과목별로구분하여 그것에 적절한 온라인 학습방식이 무엇인지를 면밀히 검토한 후 통일된 온라인 학습방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야할 것이다.
    결론 학교와 교수자는 기존의 교육과정을 비대면 온라인 방식에 적절한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여 학생들이 수업의 질이나 시험과평가의 공정성을 의심하거나 학습의 질을 걱정하는 일이 없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and concerns experienced by the start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due to the COVID-19 infection for graduate student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Methods An in-depth, unstructured questionnaire was prepared for 98 graduate students who entered the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and took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during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2020 and loaded into the list of graduate school lms ‘lecture materials’ used by our graduate student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questions so that they could honestly and specifically describe their experiences of online classes.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rom 98 subjects, inductive category analysis and interpretive analysis methods, which are representative analysis methods of qualitative research data, were used.
    Result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using and adapting to digital devices.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improve their digital literacy competency by including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improve digital literacy skills for students and students 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as the non-face-to-face online class method is hindering the complete learning, it is possible to reduce concentration in learning, distrust in the fairness and reliability of tests and evaluations, problems with smooth feedback or communication with teachers or fellow students, etc. expressed concern about what was happening. In order to improve this, it is necessary to guide the application of the unified online learning method after closely examining the appropriate online learning method by dividing it by university, subject, and subject.
    Conclusions Administrative agencies and instructors should try to reconstruct the existing curriculum into an appropriate non-face-to-face online curriculum so that students do not doubt the quality of classes, fairness of tests and evaluations, or worry about the quality of lear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