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먹거리 문화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성찰 (Christian Educational Reflection about the food Cul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0.01
24P 미리보기
먹거리 문화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성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 / 23호 / 273 ~ 296페이지
    · 저자명 : 임희숙

    초록

    오늘날 먹거리 문화는 먹거리의 양극화로 인해 풍요와 궁핍이 공존하고 있다. 이런 현실은 개인의 생명과 건강, 공동체의 상생, 생태계의 공존을 위협한다. 이것은 먹거리가 이윤을 남기는 식량으로 상품화하면서 식품제국주의의 지배 아래 놓여있음을 의미한다.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시대에 먹거리는 생존의 필수 조건일 뿐 아니라 정치경제적이고 사회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기독교는 예수의 먹고 마시는 행위와 잔치, 오병이어의 나눔, 성만찬 등을 통해서 그리스도인들이 무엇을 어떻게 먹어야 하는지, 그 의미와 가치가 무엇인지를 성찰하고 실천한다. 이것은 생명을 살리시는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과 다르지 않다. 그런 점에서 우리 시대에 일어나는 먹거리 문화의 불의함과 그로 인한 피조물들의 고통에 관심을 갖고 그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일은 기독교교육의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 글에서 필자는 우선 오늘의 세계에서 먹거리의 생산과 유통과 소비를 둘러싼 문제를 드러내기 위하여 먹거리의 정치경제학과 먹거리 문화에 은폐된 폭력의 현실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 다음, 대안적 먹거리 문화를 구상하기 위하여 먹거리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정리하고 대안적 먹거리 문화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의미를 성찰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Nowadays, wealth and poverty coexist within the food culture because of the world economy’s polarization. Such a situation threatens the health and life of individuals, the peace of society and the existence of the ecosystem. It means that food has become a commodity to make profits from, a commodity under the domination of food imperialists. In the era of neoliberal globalization, food is not only a basic condition for life, but also has a economical, political and sociocultural meaning. Christians learn and realize the meaning and value of eating-through eating and drinking acts of Jesus Christ, his feasts, the sharing of five breads and two fishes and the holy meal. This is not different from the teaching of Christ, who saved the living and taught how to live. Therefore, showing interest in the injustice of current food culture and the pain of living creatures and formulating alternatives is a major issue for Christian education.
    In this paper, I want to analyze the economical and the political aspect of food culture and the violence hidden behind the food culture to reveal problems related to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food. Moreover, I want to reflect about the theological meaning of food to formulate an alternative food culture. Lastly,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tasks dealing with the creation of such an alternative food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독교교육 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