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自濡軒 李萬白의 삶과 시 세계 (A Study on the Life and poetry world of Jayuheon Lee Man-bae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4.08
38P 미리보기
自濡軒 李萬白의 삶과 시 세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81호 / 1 ~ 38페이지
    · 저자명 : 권난희

    초록

    본고는『自濡軒集』을 중심으로 李萬白(1656-1716)의 생애적 특징과 시 세계를 탐색하였다. 이만백의 본관은 驪江이며 자는 汝白이고 호는 自濡軒이다. 삶의 시기는 肅宗代 換局期에 해당하나 중앙 정계에는 진출하지 않고 밀양 在地士族으로서 소임을 다한 인물이다. 문집 속에 드러난 그의 삶은 진리를 터득하며 끊임없이 자신을 연마한 공부의 힘으로 생의 모든 순간에 실천적 삶을 영위한 일관성을 보인다. 따라서 생애 전반기에 出仕를 지향하였으나 목표 수정 이후에 발현된 士意識의 행보를 이만백 삶의 특징 중 하나로 인식하고 그 궤적을 조명하였다. 또 이만백은 거주하며 공부하는 공간을 ‘天淵’과 ‘自濡’로 명명하였는데, 이 두 단어는 그의 志向을 대변하고 있으나 직접 의중을 드러낸 기록은 없다. 따라서 金麟燮(1827-1903)의 「天淵亭說」과 朴致馥(1824-1894)의 「自濡軒說」 등을 통해 그 속에 담고자 한 의미를 추적한 후, 그러한 자세를 견지하며 살았던 모습을 삶의 또 다른 특징적 요소로 제시하였다.
    이만백의 문학 작품은 81題의 한시가 대표적인데, 이 중 봄이나 節氣를 대상으로 창작된 시가 10여 題 이상이고 古詩 작품 13題 중 11題가 생애 후반부에 창작되었다. 특정 시점에 주기별로 詩作이 행해졌기에 이 작품군을 중심으로 景物의 시적 형상화를 고찰한 결과, 자연물을 감상하고 시로 표출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志趣를 詩境에 담아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 생애 전반부에 창작된 2편의 고시는 자유로운 시상 전개를 위한 것이기에 근체시 작품군과 유사한 정서를 표출하였다면, 생애 후반부에 창작된 대부분의 고시는 역사 및 고사와 관련된 내용을 서사적이고 웅장한 어조로 전개함으로써 해소되지 못했던 자신의 포부와 감정을 간접적으로 펼쳐내기 위해 활용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또 한편으로 경물시와 고시의 이러한 특징적 면모 기저에 이만백이 삶에서 보여주었던 태생적인 性情이 내재하고 있었고, 어떤 순간에도 진일보했던 삶의 궤적처럼 시 세계로 표출된 면모 또한 시인의 본모습을 잃지 않았던 일관성을 살필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life and poetic world of Lee Man-baek (1656–1716) through the Jayuheonjip.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Lee Man-baek did not enter the central political scene and instead resided in Miryang. His family origin is from Yeoju, his courtesy name is Yeobaek, and his pen name is Jayuheon. His life can be summarized as consistently learning truth from nature, constantly refining himself through the power of study, and living a practical life at all times. After initially aspiring to enter public office and subsequently revising his life goals, he manifested his scholarly consciousness. This study recognizes and traces this aspect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his life.
    He named his living and studying spaces “Cheonyeon” and “Jayu”, that represent his life's aspiration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ir meanings through Kim In-seop's (1827–1903) "Cheonyeonjeongseol" and Bak Chi-bok's (1824–1894) "Jayuheonseol." This examination highlights Lee Man-baek’s consistent attitude as another characteristic of his life.
    Lee Man-baek's literary world is represented by 81 pieces of Chinese poems. Two notable features are that about ten of these poems were composed in spring, and among his 13 pieces of ancient-style poems, 11 pieces were created in the latter part of his life. By analyzing these, the following facts were found: First, he periodically composed poems at specific solar terms or the onset of spring. By examining the poetic embodiment of scenery in these works, it was found that he infused his poetic realm with his aspirations through the process of appreciating and expressing the scenery in his poetry. Second, the two ancient-style poems written in his early life exhibit emotions similar to his classical Chinese verse due to their freer poetic development. However, most of the ancient-style poems composed later in life are narrative and grandiose, dealing with historical themes. This allowed him to indirectly express his unfulfilled ambitions and emotions.
    Underlying these characteristic aspects of his classical Chinese verse and ancient-style poems was Lee Man-baek’s inherent disposition. Moreover, just as he lived a life of continuous self-improvement, the consistency in his poetic expressions reveals the poet’s true self, maintaining his authentic nature throughou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