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시론의 실존주의와 김수영 (The Existe ntialism of “New Poetry”and Kim Sooyou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23.04
38P 미리보기
신시론의 실존주의와 김수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융합 / 7권 / 1호 / 363 ~ 400페이지
    · 저자명 : 이창호

    초록

    신시론 동인은 1948년 4월 『신시론』 제1집을 내고 동년 10월 『신천지』 사르트르 실존주의 특집에 참여했다. 그러나 김수영은 1949년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이 나오기 전까지 공식적인 동인으로서의 활동과존재감을 확인할 수 없다. 김수영은 신시론 초기에는 대외적 활동보다 시 이론 공부에 집중했던 것으로 보이며, 시이론에 기초가 부족한 만큼 모더니스트와 선후배 관계도 없던 처지라 자존심에도 상처를 입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김수영은 1960년대 중후반까지 이러한 내색을 않고 있다가 박인환 사후 10년 언저리에 박인환 비판과 함께 과거 모더니즘 활동에 대한 문제의식을 쏟아냈다. 이는 김수영이 무엇보다 ‘비평의 차원’을 깨달은 시기와 관련이 있어 보이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왜 그 시기였는가의 문제를중심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김수영은 하이데거의 실존주의의 핵심 주제 중 하나인 ‘양심’에 집중하였음에 반해서 박인환 등 신시론 동인은 김수영과 다르게 사르트르 실존주의를 해방정국에서 집중적으로 소개하였다. 김수영은 1950년 후반기에 신시론과 결별했음에도 신시론의 주제였던 초현실주의, 실존주의 연구와 관심을 지속했고, 특히 하이데거의 실존주의는 그의 시적 세계관에 큰 영향을 끼쳐 ‘온몸시학’이라는 독창적 시론의 밑거름이 되었다. 김수영이 박인환사후 10년이 지난 시기에 박인환과 신시론을 중점적으로 비판한 것은 ‘비평의 차원’을 획득한 것과 ‘난해시’의 사회적 유행과 맞물려 있다. 박인환과 신시론에 대한 김수영의 비판은 사르트르의 ‘문학의 사회적 책임’을기반으로 한 신시론의 주장에 책임을 물은 것으로 여겨진다. 김수영의 비판이 집중된 박인환은 1956년 사망했는데 10년이 지난 1960년대 중후반의 문학적 유행에 대한 책임을 묻는 것이 과연 정당한가의 의문이 남는다. 또한박인환 사후 그의 문화예술적 활동에 대한 새로운 사실도 밝혀 그간 미흡한자료 탓에 정당한 평가 없이 추상적 연구가 이뤄졌을 가능성도 제기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oets of "New Poetry" published the first volume of "New Poetry" in April 1948, and in October of the same year they participated in the special edition of Sartre's existentialism in "Shincheonji". However, there is no trace of Kim Sooyoung's official activities as a member of the same poetry association until "New City and Citizens' Chorus" was published in 1949. In the early days of the New Poetry Theory, Kim Sooyoung seems to have concentrated on studying poetry theory rather than on external activities. Because he had no basis in poetry theory, he had no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modernist poets, and his pride was hurt. However, Kim Sooyoung did not show such an expression until the mid and late 1960s. However, about 10 years after Park Inhwan's death, he criticized Park Inhwan's criticism and at the same time expressed his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past modernist activities to the outside world. This seems to be connected with the period when Kim Sooyoung first realized the "dimension of criticism".
    Kim Sooyoung was deeply concerned with the concept of conscience, one of the central themes of Heidegger's existentialism. Park Inhwan and the New Poetry poets, on the other hand, focused on Sartre's existentialism. In particular, Heidegger's existentialism had a great influence on Kim Sooyoung's poetic worldview and became the basis for his original poetic theory called "Whole Body Poetics. Ten years after Park In-hwan's death, Kim Soo-young acquired the "level of criticism," and on this basis he criticized the "difficult poetry" of Park In-hwan and New Poetry. Park Inhwan and the New Poetry Theory insisted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literature, but Kim Sooyoung criticized this position of the New Poetry Theory. However, since Park Inhwan died in 1956, the question remains whether it is justified for Kim Sooyoung to blame Park Inhwan for the literary trend of the 1960s ten years later. Therefore, this paper will reveal new facts about Park Inhwan's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after his death. In addition, this paper points out that it is not possible to evaluate Park Inhwan properly due to the lack of dat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