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분단과 여성의 다중적 근대적 정체성: 1930년대 초 출생한 두 실향민 여성의 구술 생애사를 중심으로 (Division of Nation and Women’s Modern and Multiple Identity: An Analysis of Life History Interviews of Two Women from Seperated Families of Unrecovered Kyunggi Provinc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13.03
36P 미리보기
분단과 여성의 다중적 근대적 정체성: 1930년대 초 출생한 두 실향민 여성의 구술 생애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여성학 / 29권 / 1호 / 127 ~ 162페이지
    · 저자명 : 윤택림

    초록

    이 논문은 미수복경기도 지역인 개성시 출신의 1933년생 여성 실향민과 장단군 출신의 1932년생 여성 실향민의 구술 생애사를 통하여 분단이 이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었으며 그것의 여성사적 함의는 무엇인가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필자는 여성의 한국전쟁과 분단 경험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할 것인데, 역사학과 사회과학 분야에서의 연구들과 문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을 주제별 및 자료의 종류 별로 검토한다. 그리고 두 여성 실향민의 구술 생애사의 해석을 위하여 영국의 대중기억연구회(Popular Memory Group)가 구술 자료를 해석하는데 제시하는 구조적 읽기(structural reading)과 문화적 읽기(cultural reading)을 분석적 틀로 사용한다. 이들 구술 생애사의 구조적 읽기는 여성 경험의 구성성(constructedness)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하는데, 이는 여성 주체의 자리매김(subject-positioning)을 통해서 가능하다. 따라서 필자는 지역, 세대, 계층, 남하시기, 가족관계, 학력, 결혼, 남한 정착 과정을 변수로 하여 구술자들의 주체의 자리매김(subject-positioning)을 하면서 구술자의 경험을 역사화한다. 그리고 문화적 읽기는 구술자들의 삶이야기의 서술 형식, 서사 주제, 시기 구분, 정체성을 중심으로 구술 텍스트를 분석하여 구조화된 텍스트로서의 생애사의 의미를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두 개의 읽기를 통해서 분단과 한국전쟁에 영향을 받은 여성의 다중적, 근대적 정체성를 논의할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기존의 여성 구술 생애사 연구가 서사분석 중심인 것에서 더 나아가 구체적인 젠더 경험을 드러내어 여성 경험을 역사화하는 작업과 연결되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division of nation upon the two women who were born in Gaesung in 1933 and in Jangdan County in 1932 and to discuss the implications to gender history. For this endeavor, the author examines the previous researches concerning women’s experience of the division of nation in historical studies, social sciences and literature in terms of themes and materials. For interpreting their life histories, the author employs the theoretical frames from Popular Memory Group which suggested the two readings of oral materials, that is, structural reading and cultural reading. The structural reading needs to place subject-positioning of the two women which shows the constructedness of their historical experience. Thus, the author seeks to historicize their experience by positioning the narrators’ subject in terms of locality, generation, class, family relationship, education, southern-bound migration, and settlement in the South Korean society. In the cultural reading of their life histories, the author tries a text analysis of their life stories in terms of narrative form, theme, periodization and identity. Through the two readings the author discusses their modern and multiple identity influenced by the division of nation and postwar gender politics. This experiment will contribute to reveal the gender experience of women and historicize the women’s experience in addition to the narrative analysis mostly carried out in the study of women’s life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