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타다 다카시가 본 제주도 (Takashi Hatada and “Genk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1.02
27P 미리보기
하타다 다카시가 본 제주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탐라문화 / 38호 / 58 ~ 84페이지
    · 저자명 : 고길희

    초록

    하타다 다카시는 전후 조선사 연구의 선구자로서 일본인의 조선관을 개선함으로써 조선에 대한 빚을 갚고자 노력했으며, 전후 일본의 조선사 연구와 조선사교육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이 연구는 하타다가 제주도를 어떻게보았는가를 그의 저서 원구(元寇) (1965)에 초점을 맞춰 고찰한 것으로,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구 의 내용을 중심으로 삼별초의 항쟁과 제주도에 관한 기술 내용을 개관하면서 원구 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고자 한다. 둘째, 하타다가 왜 항몽순의비 앞에서 합장을 했는지를 생각하면서 제주 사람들에게 삼별초의 항쟁이가지는 의미를 고찰하고, 하타다의 제주도 인식의 한계를 짚어보고자 한다. 셋째, 하타다가 전후 일본에서 조선사 연구와 조선사교육을 접목시키려는 노력을한 사실에 주목하면서 제주도 역사가 한․일 두 나라는 물론 세계 역사․평화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과 과제를 모색할 것이다.
    이상의 작업을 통해 제주도라는 지역사로부터 한․일 두 나라의 역사를 새롭게 조명하고, 제주도가 한․일 두 나라는 물론 세계 역사․평화교육에 기여할수 있는 미래지향적 교육 과제를 찾아가는 실마리를 던져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akashi Hatada(1908~1994) tried to pay back the debt he owed to Korea by improving Japanese‘s perspective on Korean history as a Japanese historian in postwar Japan. As a result of this, he gave had a big influence on korean history and korean history education in Japan . This study focuses on his book "Genko(Mongol Invasions of Japan)"(1965) to consider Hatada's perspective of Jeju, the Korean isla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ollowing: first, to clarify the significance and the limitations of "Genko"after examining the contents of "Genko" that relates to the resistance of 'Sambyeolcho'(the army of Goryeo to resist Mongol invasion) and Jeju island; second,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The Monument of self-immolation to protect Mongol invasion to Goryeo" and 'Sambyeolcho' to Jeju people by focusing on the photograph of Hatada showing respect in front of the monument; third, to seek the possibility of how Jeju history can contribute to world history and peace education, in addition to contributing to Korea and Japan relationship, by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contemporary history of Jeju island in order to go beyond Hatada's studies.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will help develop new perspective on Korean history and Korean-Japanese relationship from the regional history of Jeju Island, and will provide Jeju island the opportunity to contribute to the history and peace education of Korea and Japan, and the world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탐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