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下代 塔碑 硏究 (A Study on the Tapbi(塔碑) in Late Silla Perio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07.12
33P 미리보기
新羅下代 塔碑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29호 / 11 ~ 43페이지
    · 저자명 : 박상준

    초록

    塔碑는 高僧이 입적한 후 墓塔을 건립하고 그 공덕을 기리기 위해 행적을 기록하여 세운 일종의 묘비이다. 우리나라에서 탑비는 新羅下代에 본격적으로 출현한 이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그리고 오늘날까지 그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신라하대의 탑비는 이전의 建碑 전통을 이어받아 초기부터 뛰어난 작품들을 탄생시켰고 이후에도 독자적인 양식으로 발전시켜 갔다. 탑비의 기본 형식이 된 龜趺螭首形 비석은 신라통일기부터 출현했지만 통일신라시대에 탑비 외에는 완형으로 전하는 것은 1기도 없다. 반면 신라하대의 탑비는 龜趺, 螭首, 碑身이 대부분 남아있다. 또한 대부분이 절대 제작연대를 갖고 있기 때문에 미술사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작이 된다.
    中國에서는 南北朝時代인 5세기경에 僧塔과 함께 碑石을 조성된 예가 있지만, 신라하대 禪僧들의 예처럼 국왕(황제)이 諡號와 塔號를 내리고 탑비를 조성하는 일정한 틀이 형성된 것은 중국의 경우 禪宗이 유행하는 8세기 이후부터이며, 이때에는 선종 승려들의 건탑과 건비가 압도적으로 많이 이루어졌다.
    중국에서 8세기경부터 선종 승려들의 건탑과 건비 예가 많은 것은 師資相承, 法脈의 전수를 중요시 여기는 선종의 유행에 의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入唐求法僧들에 의해 선종이 전래되는 신라하대부터 탑비의 건립이 유행하게 된다. 신라하대 탑비의 비문에도 스승에게 법을 전수받은 내용을 중요하게 기록하고 있으며, 스승인 祖師는 佛과 같은 존재였기 때문에 제자들은 정성들여 탑과 비를 건립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지위에 있는 고승을 자신의 스승으로 두고, 이를 알리며 법맥으로 내세우기 위해서는 탑비의 기능은 한층 강화되었으며, 당시에 탑비는 碑殿을 따로 둘 정도로 중요한 조형물이었다.
    신라하대에는 813년 神行禪師碑의 건립을 시작으로 현재 11기의 탑비가 전하고 있다. 신라하대의 탑비는 크게 두 가지 형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형식은 거북머리의 龜趺와 半圓形의 이수를 구비한 형식이며, 두 번째 형식은 주류형식으로 용머리의 귀부와 넓은 사각형태의 이수를 구비한 형식이다. 신라하대 탑비와 중국 당대의 비석과 형식을 비교해 보면 비 받침이 모두 龜趺라는 점, 龜趺와 螭首가 碑身의 폭보다 넓다는 점에서 기본적인 형식의 차이가 있으며, 신라하대 탑비의 주류형식과는 귀부의 머리가 龍頭化되었다는 점, 장식이 가해진 碑座를 구비하였다는 점, 이수가 가로로 긴 사각의 형태이며, 사각의 題額을 구비하였다는 점 등에서 차이가 있다.
    신라하대 탑비는 9세기 중반과 후반 그리고 10세기 초반으로 나누어 양식을 살펴볼 수 있다. 9세기 중반까지는 中國 唐代의 귀부이수형 비석이나 신라통일기 太宗武烈王陵碑의 양식을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9세기 후반은 신라하대 탑비의 양식을 확립한 시기로서 귀부의 머리는 龍頭化되었고 귀부 상부에 운문, 연화문 등을 조식한 별도의 碑座를 마련하였으며, 넓은 사각의 형태의 이수에는 용, 구름, 보주 등이 화려하게 조식된다. 10세기 초반에는 이전시기와 같은 형식을 유지하지만 비좌, 하갑의 표현 등에서 전 시기와 차이를 보인다.
    선종에서 시작된 탑비건립의 전통은 고려 이후 종파를 뛰어넘는 불교계의 전통으로 자리잡아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중국의 비석이 唐代 이후 변화없이 당비를 계승하고 있는 데 비해, 신라하대의 탑비는 출현기부터 뛰어난 작품을 탄생시켰으며, 고려이후도 발전을 거듭하게 된다. 탑비는 기록을 남기려는 일차적인 목적에서 조성되었지만 비석을 장식하는 귀부와 이수에는 용, 거북 등의 조각과 많은 장식문양이 있어 동시기 미술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고에서 신라하대 탑비에 대해 살펴보았지만 이전 시기의 비석이 전하는 예가 적고, 온전히 전하는 것도 없어 양식비교에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탑비에는 용과 거북 등 다양한 圖像이 등장하고 변화하는데 이에 대한 심도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A Tapbi is sort of stone monument which is erected after the death of a Buddhist priest with one's record of achievements. A Tapbi manufactured in Korea has been maintained the tradition from the late Silla period when it came in earnest to Goryeo, Joseon, and the present time. The Tapbi of late Silla period has been erected with excellent form at the early stage inherited from the former tradition of erecting stone monument, and developed into one's own form thereafter. Even though the basic form, a turtle base with the placement of an engraved dragon on the top of a stele, has been appeared from unified Silla, none of them are remained as a complete form.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Tapbi manufactured in late Silla period are remained.
    The Tapbi in the latter half of the 9th century, which has remained at a great portion of works, with an inscription of the absolute manufacture dates is highly worth as a standard work in the study of art history. In addition, the features of the Zen Buddhist art of late Silla period are well reflected on the Tapbi as well as on the stupa of a Buddhist priest.
    According to the record, a Tapbi has erected along with a stupa during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in China. Like late Silla period, however, the formation of particular formality which Emperor grants one's posthumous and stupa name, and constructs monument has started to appear after 8th century when Zen Buddhism becomes popular. During this time, the erection of a monument and a stupa for Zen Buddhist priests are extremely formed. This phenomenon is the results of the spread of Zen Buddhism that lays emphasis on receiving the mantle, and this is introduced to late Silla period by Buddhist priests who studied in Tang, China. The details of receiving the mantle from a master are importantly recorded on the Tapbi of late Silla period, and the disciples elaborately erect stupa and monuments considering the founder of a religious sect as the Buddha. The function of a Tapbi seems to become stronger since it is placed in the separate palace at that time.
    Beginning with the monument of Sinhang Zen master in 813 years, eleven Tapbis have been handed down to the present time. The Tapbi of late Silla period can be generally divided into two formations. One is the formation of turtle base with semicircular ornamental capstone, and the other is dragon-head turtle base with wide-square ornamental capstone which is the mainstream form. From the comparison of the former formation with the one of Tang dynasty, the difference can be found in points of all of them are consisted with turtle bases, and the widths of turtle base and ornamental capstone are wider than stele body. From the comparison of the latter formation, the difference can be found in points of the head of turtle base becomes a dragon, the ornamentation is applied on the base with higher elevation, the ornamental capstone is formed with horizontally long square, and the square space for entering title is placed on the ornamental capstone.
    The style of the Tapbi in late Silla period can be examined with the classification by the times, the mid of the 9th century, the latter half of the 9th century, and the former half of the 10th century. Either the style of the monument manufactured a turtle base with a semicircular ornamental capstone in Tang dynasty or the monument of King Taejongmuyeol of unified Silla period has been inherited until the mid of the 9th century. Then in the latter half of the 9th century, the fixed style of a Tapbi of late Silla period is established and the ornamental appearance is prominently noticed, and this continued to the former half of the 10th century.
    The tradition of erecting a Tapbi originated from the Zen Buddhism has been settled as a tradition in Buddhism after Goryeo. Compared to the fact that the formation of a Tapbi in china has inherited with no transformation from Tang dynasty, the Tapbi of late Silla period has been shown outstanding work from its origin, and redeveloped since Goryeo.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first intention of erecting a Tapbi is to leave one's record of achievements, not only the ornamental sculptures of dragon and turtle, but also the diverse patterns give important clues in studying art history of the same period.
    Even though a Tapbi of late Silla period is observed in this thesis, it lies beyond the boundaries of making stylistic comparison due to the shortage of the remainders from the former period. The advent and change of various icons appeared on the Tapbi need to be further studied in detai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