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淡의 도가 사상적 연구 (A study on the thought of Da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9.03
26P 미리보기
淡의 도가 사상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예학연구 / 34호 / 217 ~ 242페이지
    · 저자명 : 서희연

    초록

    노장사상은 송 대 이후 문인 사대부들이 서화 예술 창작에 참여하면서부터 예술의 내용과 형식의 측면에서 중국 서화 예술에 큰 영향을 끼쳤다.
    노장사상이 중국문화에 끼친 영향은 다양하다. 도교까지 그 영향력을 확장한다면 더 많은 측면이 있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몇몇 서화가들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봤다. 그들이 노장사상을 자신의 예술창작에 어떻게 표현하였고, 지향한 예술정신은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대상의 외형만이 아닌 내면의 본질과 그림을 그리는 사람의 인격을 반영하여 맑은 기(氣)를 표현하고자 했다. 이에 따른 최고의 정신 경계라고 할 수 있는 ‘담(淡)’을 추구하는 회화관을 노장의 시각에서 분석해 보았다.
    중국 서화가들을 보면 유가의 규범화된 세계를 벗어나 창의적 예술 창작 심리상태는 파격적인 형태의 묘사로 나타나는데 이 바탕에는 노장철학이 그 바탕을 이루고 있다. 동기창이나 팔대산인 모두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사유는 바로 노장의 예술정신이었다.
    노장철학을 바탕으로 한 서화가들은 폭넓은 이해와 포용성을 바탕으로 그들 예술의 지평을 한 차원 넓혀갔다. 그들은 자신의 목소리를 개성적인 필치로 표현해냈다.
    노자는 否定의 정신을 가지고 기존의 진리를 부정하고 집단에 빠지지 않는 주체적인 나를 강조하는 정신은 자신의 목소리를 과감하게 드러내는 형태로 나타났다. 이들은 시대정신과 미의식이 기존의 서화가들보다 앞서 있었다. 오늘날 우리의 관점에서 볼 때 노장을 통한 담의 정신을 나타낸 서화가들이 추구한 창의적 예술정신은 다시 되새겨 볼 필요성이 있다.

    영어초록

    As the literati of China after Song Dynasty started to take part in the creation of the art of painting and calligraphy, Lao Zhuang Thought had a great impact on the field in China in the aspects of content and form.
    Lao Zhuang Thought had various influences on the Chinese culture. Although many more aspects are expected to be discovered if the research area is expanded to that of Toism, this research focused on a few number of artists in the field of painting and calligraphy. The research examines how Lao Zhuang Thought was expressed in their art creations, and the spirit of art they pursued.
    The artists attempted to express the clear and pure “Ki(氣, spirit)” by going beyond the mere description of the appearance of the subjects to express the character of the painter. The research analyzed the perspective of painting in pursuit of “Dam(淡)”, which can be referred to as the area of the ultimate height of spirit.
    The works of the Chinese painting and calligraphy artists contain the descriptions in unconventional forms, as they reflect the artists’ minds freeing themselves from the normative world of Confucianism to pursue creativeness, and Lao Zhaung Thought is behind such motivation. The common thread that can be applied for the figures Dong Qi Cang or BaDaShanRen was the art spirit of Lao Zhaung Thought.
    Based on their wide understanding and acceptability, the painting and calligraphy artists with their basis in Lao Zhaung Thought expanded their prospect of art to a new dimension. They expressed their own voices in individual and creative strokes.
    The spirit of Negation(否定), which lays emphasis on a autonomous self who denies the existing truth and is not involved in groups, emerged in the artworks as bold displays of the voices of the artists. They were much ahead than the existent artist of the same field, in their spirit of times and sense of beauty. From today’s perspective, the creative spirit of art pursued by the literati of China at the time, which represented the spirit of “Dam” through Lao Zhaung Thought, are worthy of reconsid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예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