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문학장의 뉴노멀과 독자 문제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의 비평담론과 독자의 위상- (New Normal and Reader Issues in the Korean Literary Field-Critical Discourse and Readers Status after Feminism Reboot-)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21.08
30P 미리보기
한국문학장의 뉴노멀과 독자 문제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의 비평담론과 독자의 위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반교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반교어문연구 / 58호 / 303 ~ 332페이지
    · 저자명 : 김요섭

    초록

    본 연구는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한국문단의 변화를 독자의 위상을 재정립하는 과정에서 찾고자 한다. 소설가 신경숙의 표절사태와 그 이후 전개된 문단의 성폭력에 대응하는 ‘성폭력 해쉬태그 운동’ 등 한국문단의 부조리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어지면서 문학비평은 심각한 위기를 직면했었다. 특히 신경숙의 표절에 대한 고발이 전통적인 문학 매체가 아닌 뉴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서 문학비평의 역할에 대한 회의가 늘어났으며, 비평가의 역할이 독자와 시민으로 넘어가리라는 기대가 형성되기도 했다. 특히 트위터를 중심으로 전개된 ‘성폭력 해쉬태그 운동’과 『82년생 김지영』의 등장으로 이어지는 페미니즘 리부트 국면은 한국문학 비평의 세대교체와 맞물리면서 비평담론의 변화를 이끌었다.
    문단의 표절과 성폭력 문제에 대한 비판자들이 주목했던 것은 그 폐쇄적인 구조였으며, 독자중심주의는 폐쇄성을 극복하기 위한 중요한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독자중심주의는 비평적 역량을 가진 정치적 행위자로서의 ‘시민-독자’가 가진 역량을 통해서 정당성을 확보했다. ‘시민-독자’는 뉴미디어를 통해서 표절과 성폭력 문제의 고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을 뿐 아니라 페미니즘 독자로서 새로운 작품을 발견해냈다. 독자중심주의를 수용한 한국문학장은 독자의 제도적 참여를 높이기 위해 여러 대안적 조치를 강구했다. 문학상과 문학잡지 등 주요한 문학 제도에 독자의 참여를 유도하고자 했으나, 2020년 이후 문학제도는 다시 전문가 중심으로 안착했다. 이는 독자중심주의가 부상하는 과정에서 독자의 수행성이 문학소비자의 역할로 부각되면서, 제도적 참여가 시장 접근성의 문제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한국문학장이 독자의 수행성을 읽어낼 수 있는 가독성 높은 수단을 새롭게 개발하지 못함으로써 문학소비자의 성격이 과잉대표된 상황이 독자중심주의 기획을 한계에 직면하게 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find changes to the Korean literary circles in the reestablishment process of readers status after feminism reboot. Issues were raised with the irrationalities of the Korean literary circles one after another including plagiarism by the wrtiter Shin Gyeong-suk and the following “sexual violence hashtag movement” to deal with sexual violence in the Korean literary circles. As a consequence, literary criticism faced a serious crisis. As Shin’s plagiarism was reported by new media instead of the traditional literary media, there were growing doubts about the roles of literary critism with an expetation for a shift of roles from critics to readers and citizens. The “sexual violence hashtag movement” that developed on Twitter and the conditions of feminism reboot following the publication of Kim Ji-Young Born in 1982 brought changes to critical discourse in line with the shift in generations of criticism in Korean literature.
    Facing the issues of plagiarism and sexual violence in the Korean literary circles, readers focused on their closed structure with reader-centrism emerging as an important alternative to overcome the closed nature. Reader-cnetrism secured its justification through the capabilities of “Cirizens-readers” as political agents with critical competence. “Citizens-readers” not only took active part in reporting plagiarism and sexual violence issues through new media, but also discovered new works as feminist readers. Accepting reader-centrism, the Korean literary field sought after many different alternative measures to increase readers’ institutional participation. Although efforts were made to induce readers’ participation in major literary systems including literary awards and magazines, the literary institution settled down around experts once again after 2020. It was because readers’ instiutional participation was considered as an issue of market accessibility as readers performance was highlighted by their roles as literary consumers in the emerging process of reader-centrism. As the Korean literary field failed to develop new means of high legibility to read readers’ performance, the situation of their nature as literary consumers being overrepresented made reader-centrism planning face its limi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반교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