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使行團의 경험을 통해 말하는 조선 (The comparison of culture between the Joseon dynasty朝鮮 and Ming, Qing dynasty through Chaotianlu朝天錄 YanxingLu燕行錄)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6.06
24P 미리보기
使行團의 경험을 통해 말하는 조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67호 / 125 ~ 148페이지
    · 저자명 : 김동석

    초록

    본고는 조선의 제도와 문화를 색다른 시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작성한 글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제도와 문화는 너무 익숙하기 때문에 실상을 파악하기 어렵고, 나아가서는 비판의 근거도 마련하기가 힘들 수 있다. 이에 조선의 제도와 문화를 중국과 비교하면서 서로의 차이점과 이 차이점이 발생하게 된 배경, 그리고 이를 통해 조선 사회를 진단하고자 했다.
    이 문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주로 살펴본 자료는 『조천록』과 『연행록』, 『조선왕조실록』 그리고 그와 관련된 자료이다. 조천록과 연행록은 조선 사신의 일행이 중국에 가서 생각을 온통 중국의 제도와 사회·문화 같은 다양한 현상에 집중할 수 있던 때였다. 몇 달에 걸쳐 다니면서 자연 조선에서 보고 학습한 생각을 표출하기도 하고 비판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조선 사회의 제도와 문물 중에는 중국에서 들여와 시행한 것이 많은데, 이중에는 대체로 최초로 도입했던 시기의 원형에 변화를 주지 않고 그대로 유지하며 계승시킨 경우가 많다.
    조선에서는 전통적으로 송학 중심의 성리학을 계승하여 발전시켜 왔는데, 그 원론을 고수한 면은 중국과 달랐다. 반면 중국에서는 라마 불교나 장자·양명학 같은 다양한 사상이 상호 충돌을 최소화 하면서 독특한 양식으로 존재하며 발전하였다. 조선 사신의 일행은 해외에 가서 이런 중국의 현실을 보고 비판을 하기도 하고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조선 문인이 유학을 중시했던 입장은 명나라 사신과 位版을 두고 있었던 논쟁에서도 나타난다. 명나라 嘉慶 때 공자의 位版을 ‘大成至聖文宣王’에서 ‘至聖先師孔子’라고 바꾸었다. 공자의 위상을 강등한 것이다. 그런데 조선에서는 여전히 ‘大成至聖文宣王’이라고 사용하고 있었다. 정유재란 때 명나라 萬世德이 經理가 되어 조선에 왔다가 공자의 신위가 명나라와 다르다는 것을 알고 바꿀 것을 요청한다. 조선에서는 공론이 벌어졌으나 결국 바뀌지 않았고 지금까지도 ‘大成至聖文宣王’이라는 위판을 사용하고 있다. 공자의 尊號를 함부로 바꿀 수 없었기 때문인데, 조선에서 공자가 차지하는 위상이 중국과 달랐기 때문이기도 하다.
    일상생활의 문화도 다른 점이 있었다. 조선 선비들은 직접 시장에 가서 사는 것을 꺼려 동자나 심부름꾼을 보내어 물건을 샀다. 체면을 중요하게 생각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반면 중국은 다르다. 고관대작이라도 시장에 가서 물건을 감상하고 흥정하며 샀다. 상례문화도 달랐다. 조선에서는 주자의 가례가 원론에 입각하여 충실하게 지켜졌으나 중국에서는 문관과 무관이 상례를 지키는 방식이 달랐다. 특히 흰 복장은 조선 사람들의 평상복장이기도 하였는데, 중국에서는 상례 때 입는 복장이었다.
    이상의 고찰을 통하여 조선 사람들은 해외체험을 통하여 조선의 현실을 진단하기도 했고, 또 이러한 현상을 분석하면서 새로운 것을 발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선의 문화에는 중국과 다른 독특한 요소가 많다. 비슷했던 문화 중에도 시기를 달리하면서 각각의 환경 속에서 다르게 발전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 대륙에서 유행하고 있는 韓流도 문화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우리와 중국이 서로 비슷하면서 다른 점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그 源流도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inquire into the system and culture of Joseon朝鮮 dynasty through the Chaotianlu朝天錄 YanxingLu燕行錄 written by an envoy to China in Joseon朝鮮 dynasty. The system and culture of Joseon dynasty朝鮮 is very similar to China on the outside. But if we have a good look at into the system and culture of Joseon dynasty朝鮮, we could easily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wo countries.
    Joseon朝鮮 dynasty is very faithful to the principle of Neo-Confucianism. So many envoy are feel perplexed when they are in China to see diverse phenomenon of culture. For example, Buddism is very popular in Beijing and see many temples and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was also popular among people.
    They also found out the daily life of Joseon朝鮮 was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For example, funeral rites because confucian ritualism朱子家禮 was well obeyed in Joseon朝鮮 than China and classical scholar in Joseon朝鮮 did not want to go marketplace to buy somethings because they keep their own face by not to talk with merchant. But in China many scholar and a high office likes to visit market to by something partly becauew they stressed on practical value.
    Now Korean Wave韓流 was very popular in China. Through this investigation we could find that the system and culture of Joseon朝鮮 and China have something different each other. Similar but not same have something special to chinese people. Korea well obtained traditional cultural but not same. Korean. And it makes their culture creative and origin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