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老柏軒 鄭載圭의 蘆沙學 계승과 主理論의 심화 (Rohbaekhyeon (老柏軒) Jeong Jaegyu (鄭載圭)'s succession to Philosophy of Nosa (蘆沙學) and the Deepening Process of the Theory of Li (主理論))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20.12
28P 미리보기
老柏軒 鄭載圭의 蘆沙學 계승과 主理論의 심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68호 / 169 ~ 196페이지
    · 저자명 : 김봉곤

    초록

    19세기 후반 이래 영남지역에서는 조선 성리학의 6대가로 일컬어졌던 蘆沙 奇正鎭(1798-1879)의 철학과 사상이 활짝 꽃을 피웠다. 본고는 이러한 영남지역에서의 노사학의 수용과 발전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작성된 것으로서, 기정진의 수제자 정재규(1843-1911)가 남긴 「沙上記聞」과 영남지역에서의 학술활동을 분석하였다.
    정재규는 기정진을 찾아가 경학과 예학은 물론 독특한 유리론적 사고가 반영된 「納凉私議」와 「猥筆」을 전수받았다. 이를 통해 정재규는 노사학의 독특한 理一分殊 사유체계와 衛正斥邪사상을 계승하였으며, 노사학을 바탕으로 南冥 曹植의 神命舍圖나 寒洲 李震相의 心卽理說을 이해하였다.
    이후 동문간의 학술토론이나 노사학의 정합성에 관한 艮齋 田愚와의 논쟁에서도 정재규는 노사학설의 주리적 측면을 더욱 심화시켜갔다. 그는 이일분수론을 확장하여 이기론 뿐만 아니라 심성설에서도 주리론을 확립하였다. 이기론 뿐만 아니라 심성설에서도 주리설을 확립하였다.
    主宰하고 常定하는 것은 心이고 심이 발출하여 같지 않은 것이 仁義禮智의 성이라고 하여, 主宰와 妙用의 心과 條理와 實體로서의 性을 일체화시켰는데, 이것 또한 理一分殊論의 확장인 것이다. 이에 따라 神明과 虛靈에 대해서도, 신명은 理의 體, 허령은 理의 用이라고 규정하여 명덕에 대해서도 理로 규정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심성을 일치시키고, 明德을 理로 보는 관점은 기정진의 心性理氣說을 한 단계 심화시킨 것이다.
    이러한 정재규의 주리론의 심화는 사리사욕을 억누르고 禮義廉恥를 회복하며, 人倫秩序를 중시하는 경세론적 의의를 함께 지닌 것이다. 이 때문에 정재규와 그의 문인들이 守死善道의 정신으로 主理論과 衛正斥邪運動을 강인하게 전개해 간 것이다.

    영어초록

    Since the late 19th century, the philosophy and ideology of Nosa(蘆沙) Gi, Jeong-jin (奇正鎭, 1798-1879), which was said to be one of 6 great experts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has blossomed in the Yeongnam region.
    This paper was written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development of Philosophy of Nosa (蘆沙學) in the Yeongnam region, and analyzed the ‘Sasang Gimun(沙上記聞)’ left by Jeong, Jae-gyu and academic activities in the Yeongnam area.
    Jeong, Jae-gyu visited Gi, Jeong-jin and learned 「Napryangsaeui (納凉私議) and 「Oepil (猥筆)」 that reflected his unique thought of rationalism (唯理論的) as well as study of he Classics (經學) and study of ritual (禮學). He succeeded to Gi, Jeong-jin's unique thinking system of the one principle with different manifestations (理一分殊) and idea of protecting the orthodox and repelling the heterodox through this, and based on Nosa studies, he understood the theory of Sinmyeongsado(神明舍圖) in Nammyeong and the theory that Hangju(寒洲) Lee JinsangYi(李震相) claimed that the mind was reasonable.
    Since then, Jeong, Jae-gyu has deepened the aspect of the theory of Li in the theory of Nosa having academic discussions between alumni and academic arguments with Ganjae Jeonwu.
    He established the aspect of the theory of Li in the theory of human nature and mind as well as the theory of i and ki by expanding the one principle with different manifestations more. He integrated mind of supervision and wonderful operation with human nature as systematic organization (條理) and true nature (實體) saying that mind is supervision and suggestion, nature of humaneness, rightness, ritual decorum, and wisdom means when mind is expressed and gets to be different, which is the expansion of the theory of one principle with different manifestations. Accordingly, for divine beings (神明) and numinous emptiness (虛靈), he defined divine beings as Body of Li, numinous emptiness as Use of Li, and Myeongdeok as Li (理). Like this, the viewpoint to combine mind and nature with each other and consider Myeongdeok as Li deepened Nosa's theories of human nature and mind and i and ki.
    the Deepening Process of the Theory of Li (主理論) represses self- interest, restores courtesy, and has the significance of administration theory that emphasizes human order. For this reason, Jeong Jae-gyu and his literary men strongly developed the movement for protecting the orthodox and repelling the heterodox with the spirit of defending great enlightenment desperately (守死善道)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