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17년도 보험법 판례의 동향과 그 연구 (Study on the Insurance Law Cases of 2017)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8.03
42P 미리보기
2017년도 보험법 판례의 동향과 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사판례학회
    · 수록지 정보 : 상사판례연구 / 31권 / 1호 / 193 ~ 234페이지
    · 저자명 : 장덕조

    초록

    이 글은 2017년도 보험법 분야의 판례들을 다루었다. 2017년도에도 다수의 보험법 판례가 나왔으며 그 중에는 중요한 판결들의 의으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사기죄의 기망행위를 고지의무 위반의 문제와 연관시키는 것에 대하여는 보다 검토가 필요하다. 고지의무제도가 보험소비자에게 지나치게 가혹하여 전반적인 개선의 과정에 있는 점 등 여러 제반 사정을 감안할 때, 고지의무위반에 대한 보증인적 지위의 부여와 그 부작위범의 동가치성이라는 논리 전개가 타당한 지 여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증이 필요하다.
    둘째, 책임보험에서의 중복보험과 구상권에 관한 판결로 그 결론은 옳다. 그러나 공동불법행위자의 보험자인 甲이 다른 공동불법행위자의 보험자에 대하여 행사하는 구상권의 법리를 피해자 직접청구권으로 설명한 부분은 적절하지 않다. 그 보험자인 甲이 대위취득하는 권리는 손해배상청구권이 아니라 구상권이고, 이는 시효기간 등이 전혀 달라지기 때문에 법적 성질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셋째, 법정상속인이 보험금수익자로 지정되었고 그 상속인이 수인 있는 경우 상속인 각자가 그 상속분의 비율에 따라 보험금청구을 취득한다는 판결은 타당하다.
    넷째,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상 면책사유인 승객의 고의를 승객의 자유로운 의사결정에 기하여 의식적으로 행한 행위에 한정된다고 한 판결은 타당하다. 다만 인보험에서의 면책사유인 고의를 “전체적으로 보아 고의로 평가되는 행위로 인한 것”이라 하면서 양자 고의의 의미가 구별된다는 취지의 판시는 적절치 않은 것으로 본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ase law of insurance law in 2017. In 2017, a number of insurance law precedents were issued, among which the important decisions are as follows.
    First, further investigation is required to relate the deceitful act of fraud to the problem of violating the obligation of disclosure. Considering the various circumstances such as the fact that the disclosure obligation system is overly harsh to insurance consumers and the overall improvement proces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the logic of granting the guarantor human rights status to the violation of disclosure obligation, In-depth demonstration is necessary.
    Second, the conclusions are correct with the ruling on double insurance and compensation rights in liability insurance. However, it is not appropriate for the explanatory part of the direct claim to be exercised by the insurer of the common illegal act against the insurer of the other joint illegal act. The right to acquire the insurer is not a claim for damages, but a right of recourse, which requires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legal nature, since the prescription period is completely different.
    Third, if the heir of the court is designated as beneficiary of the claim, and each heir is a beneficiary, it is reasonable that each heir acquires the claim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the inheritance.
    Fourth,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the limitation of the passenger's deliberation, which is the reason for the exemption in the Automobile Damages Guarantee Act, is limited to the act of consciously taking the decision of free passenger's decision. However, it is not appropriate that the intention that the intentions that are the reason for the exemption from personal insurance are distinguished from the meaning of the intentional intentions is called "due to the act being deliberately viewed as a who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사판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