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원 지역 일부 여대생 중 골밀도 정상군과 위험군의 식품섭취빈도법을 이용한 식품과 영양소 섭취 상태 비교 (Evaluation of Food and Nutrient Intake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between Normal and Risk Groups according to the Bone Mineral Dens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Gangwon Area)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0.08
16P 미리보기
강원 지역 일부 여대생 중 골밀도 정상군과 위험군의 식품섭취빈도법을 이용한 식품과 영양소 섭취 상태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5권 / 4호 / 429 ~ 444페이지
    · 저자명 : 정혜련, 윤선주, 김미현

    초록

    20대 여대생의 골밀도와 식이섭취상태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강원도 삼척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16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골밀도 측정, 신체계측조사, 식품섭취빈도조사를 실시하고, 골밀도 측정결과에 따라 Tscore 값이 -1 이상을 정상군(117명), -1.0 미만을 위험군 (43명)으로 분류하여 신체계측, 영양소 및 식품 섭취 실태를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정상군 20.17세, 위험군 20.69 세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정상군의 평균 T-score는0.91, 위험군의 평균 T-score는 -1.64로 나타났다. 신체계측 결과 체중, 체지방률, 체지방량에서 정상군이 위험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 영양소 섭취량에 대한 분석결과 열량 섭취량은 1일 평균 정상군이 2362.74 kcal, 위험군이 2151.67 kcal로 정상군이 위험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단백질, 지방, 비타민 A, 레티놀, 나이아신, 비타민 B6, 엽산, 인, 나트륨, 칼륨, 철, 아연 섭취량은 정상군이 위험군보다 높았다. 칼슘 섭취량은 정상군 605.30 g, 위험군 523.16 g으로 두 군 모두권장섭취량보다 적게 섭취하였으며 위험군이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섭취 양상을 보였다.
    3. 식품섭취빈조사지에 제시된 94종의 식품 또는 음식의섭취량에 대한 조사결과 식빵, 떡, 감자, 육개장류, 오이, 시금치나물, 깻잎류, 쑥갓류, 버섯류, 미역류, 쇠고기 갈비, 햄류, 닭고기 탕류, 고등어·삼치·꽁치류, 낙지·오징어류, 마시는 형태의 호상요구르트, 참외, 초콜릿은 정상군이 위험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반면 라면과 탄산음료의 섭취량은 위험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 20대 여대생에서 골감소증 또는 골다공증의 골밀도 위험 대상자의 비율이 26.9%로 높게 나타났다. 정상군이 위험군에 비해 체중과 체지방률이 높았고,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을 이용한 영양소 섭취상태 평가 결과 전반적으로 칼슘을 포함한 다양한 영양소의 섭취가 정상군에서높았다. 정상군은 다양한 식품 또는 음식에서 위험군에 비하여 높은 섭취량을 보인 반면, 위험군은 라면과 탄산음료를 유의적으로 더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0대여대생에서 골밀도 위험군은 다양한 식품의 섭취를 증가시켜 영양소 섭취와 식사의 질을 증가시킬 필요성이 있으며, 라면과 탄산음료와 같은 골격건강에 부정적인 식품의 섭취를줄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현재 골밀도 정상군의 경우도 칼슘의 섭취에 있어서는 권장섭취량에 미달되고 있기때문에, 칼슘의 섭취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칼슘 급원식품의섭취 증가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density and dietary intake for college women in their twenties. This study was performed on 160 female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Gangwon-do. It was conducted using ultrasound measurement of calcaneus bone density, anthropometric checkup and food-frequency questionnaires (FFQ) comprising 94 kinds of commonly consumed foods.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T-score of bone density: a normal group (n = 113 persons, T-score ≥ 1) and a risk group (n = 47, T-score < 1.0).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20.17 year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ody weight and body fat percentage of the norm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risk group. The mean daily energy intake of the norm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risk group. Also, protein, fat, vitamin A, niacin, vitamin B6, folate, calcium, phosphorus, sodium, potassium, iron and zinc intake for the norm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for the risk group. For the intake of the commonly consumed foods (or dishes) listed in FFQ, the mean daily intake amount of loaf bread, rice cake, potatoes, spicy beef soup, cucumber, seasoned spinach perilla leaves, crown daisy, stir-fried mushroom, sea mustard, beef rib, ham, chicken, mackerel, common squid, drink type curd yogurt, oriental melon and chocolate in the norm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risk group. While, the mean daily intake of ramyun (instant noodle) and carbonated beverage by the norm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risk group. In conclusion, 20 something female college students showed a higher rate (26.9%) of the bone mineral density risk group (osteopenia or osteoporosis). For the risk group, the levels of nutrient and food intake were lower than in the normal group. Therefore, the bone density risk group needs to increase their nutrient intake and diet quality by increasing the intake of various foods. In addition, they should decrease the intake of foods, which are negative for skeletal health such as instant noodles and carbonated beverag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5(4) : 429~444, 2010)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