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인의 족근골 유합의 유병률: 병원 내원 환자에 대한 연구 (Prevalence of Tarsal Coalition in the Korean Population: A Single Institution-Based Study)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0 최종저작일 2020.08
7P 미리보기
한국인의 족근골 유합의 유병률: 병원 내원 환자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정형외과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55권 / 4호 / 324 ~ 330페이지
    · 저자명 : 김태용, 윤소희, 고정훈, 이태호, 이승림

    초록

    목적: 족근골 유합의 유병률에 대한 국내의 연구가 드물고 특히 성인에서의 다발성 족근골 유합은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유병률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본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영상 검사를 이용하여 한국인의 족근골 유합의 양상및 유병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9년 2월까지 본원에서 시행한 족부 및 족관절의 컴퓨터 단층촬영 검사 및 자기공명영상 검사를시행한 족관절 염좌 및 골절 환자 총 4,711명(남성 4,454명, 여성 257명)을 대상으로 족근골 유합의 유병률 및 양상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10년동안 총 78명(1.7%)의 환자에서 족근골 유합이 관찰되었고 전체 족근골 유합 환자 중 25명(32.1%)에서 다발성 족근골유합이 확인되었다.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거골-종골 유합이 단발성(31명 37예, 62.7%) 및 다발성(22명 23예, 45.1%) 족근골 유합모두에서 가장 흔하게 관찰되었고 단발성 유합에서는 종골-주상골 유합(10명, 16.9%), 주상골-설상골 유합(9명, 15.3%), 입방골- 주상골 유합(3명, 5.1%)의 순서로, 다발성 유합에서는 종골-주상골 유합(14명 14예, 27.5%), 거골-주상골 유합(6명 6예, 11.8%)의빈도 순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총 60예의 거골-종골 유합 중 후방 관절소면에서 24예(40.0%)의 유합이 확인되었고 중간 관절소면에서 18예(30.0%), 전방 관절소면에서 4예(6.7%)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조직학적인 분류에 따라 연골성 유합이 단발성(32명 35예, 59.3%) 및 다발성(20명 37예, 72.5%) 4예(6.7%)모두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결론: 기존의 문헌들을 통해서 알려진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거골-종골 유합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하지만 거골-종골 유합은 대부분 중간 관절소면에서 주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는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후방 관절소면에서 더욱 많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극히 드물게 관찰되는 것으로 알려진 다발성 족근골 유합은 이제까지 알려진 바와 달리 다양한 양상으로 드물지 않게 발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Purpose: Korean studies on the prevalence of a tarsal coalition are quite rare, and there are very few reports on the prevalence of multiple tarsal coalitions among adults in the foreign literatur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prevalence of tarsal coalition in the Korean population based on imaging tests.
    Materials and Methods: The prevalence of tarsal coalition and its anatomical location and histological classification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mong 4,711 patients (4,454 males and 257 females) with an ankle sprain or ankle fracture who underwent foot and ankle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between March 2009 and February 2019 at the authors’ institution.
    Results: Over a period of 10 years, 78 patients (1.7%) had a tarsal coalition, among whom 53 patients (67.9%) had an isolated tarsal coalition and 25 patients (32.1%) had multiple tarsal coalitions. Regarding the anatomical location, a talocalcaneal coalition was the most common type in both isolated (31 patients, 37 cases [62.7%]) and multiple (22 patients, 23 cases [45.1%]) tarsal coalitions. In the isolated coalition group, the second-most common type was calcaneonavicular coalition (10 patients, 16.9%), followed by naviculocuneiform (nine patients, 15.3%) and cuboidonavicular coalitions (three patients, 5.1%). In the multiple coalition group, the second-most common coalition type was calcaneonavicular coalition (14 patients, 14 cases [27.5%]), followed by talonavicular coalition (six patients, six cases [11.8%]).
    From a total of 60 cases of talocalcaneal coalition, 24 cases (40.0%) were in the posterior facet, 18 cases (30.0%) in the middle facet, and four cases (6.7%) in the anterior facet. Regarding the histological classification, cartilaginous coalition was the most common in both single (32 patients, 35 cases [59.3%]) and multiple (20 patients, 37 cases [72.5%]) coalition group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talocalcaneal coalition was the most common type of tarsal coalition. In contrast to previous reports that a talocalcaneal coalition generally occurs in the middle facet, it was usually observed in the posterior facet in the present study. In addition, although multiple tarsal coalitions have been reported to be quite rar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y are not rare and can occur in a range of patter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정형외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