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심리의 시대’를 들여다보는 창 -『일성록』․『추조결옥록』․장계등록을 이용한 살옥사건 기록의 재구성- (A Window into the 19th century’s Era of Simni(審理) -Centered on the Reconstruction of the Records on Homicide Cases using Ilseongnok(日省錄), Chujogyeolokrok(秋曹決獄錄)and Janggyedeungnok(狀啓謄錄)-)

6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2.03
62P 미리보기
19세기 ‘심리의 시대’를 들여다보는 창 -『일성록』․『추조결옥록』․장계등록을 이용한 살옥사건 기록의 재구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60권 / 7 ~ 68페이지
    · 저자명 : 문준영

    초록

    19세기는 조선시대 사법제도의 역사에서 앞 시대와 뚜렷이 대비되는 시대적 특징이 있다. 사형범죄 등 중범죄를 취급하는 형사사법의 영역에서는 19세기는 ‘審理의 시대’라 부를 수 있다. 조선 시대 사형사건의 재판절차의 필수적 부분이었던 삼복제도는 정조 3년(1779) 11월 12일에 거행된 마지막 삼복을 끝으로 이후 갑오개혁에 의한 새로운 재판제도가 시행되는 1895년까지 120년 동안 법전에만 존재하였을 뿐이다. 이제 待時의 사형죄인들은 정기적인 계복을 통해 최종 처리되는 것이 아니라, 부정기적으로 시행되는 ‘審理’의 기회에 재심을 받고 仍推 또는 傅生의 처분을 받았다. 심리의 시대에는 사형판결 없이 사형죄인을 처리하고 징벌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시대의 모습은 우리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 『日省錄』과 『秋曹決獄錄』에 수록된 방대한 살옥안 처리 기록에서 단편들을 모으고 일일이 이어 붙여야 비로소 그 모습이 드러난다. 이렇게 확보된 일련의 사건기록에 관찰사가 살옥죄인을 조사ㆍ심리하여 올린 審理狀啓과 査啓 등의 장계등록 자료를 합치면, 64명의 살옥죄인에 대한 통합된 사건기록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19세기 살옥안 심리에 관련된 장계등록 자료의 현황을 소개하고, ‘사형판결 없는 사형죄인의 처리와 징벌’이라는 그 시대적 특징을 보여주기 위해 몇 가지 사례를 소개하였다. 64개 사건기록은 심리의 시대 살옥사건 처리의 실제와 경향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이라이트처럼 보여주며, 조선 후기의 법제사 및 법과 사회 연구를 위해 유용하고 흥미로운 사례들을 제공한다.

    영어초록

    The 19th century shows distinct features in the history of the judicial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forming a sharp contrast with the preceding period. In the realm of criminal justice that penalizes felony crimes with sentences such as the death penalty, the 19th century can be called the era of simni(審理), or special reexamination. In the traditional criminal procedure, even after determining the death penalty for criminals who committed crimes punishable by death, it was required to review and deliberate the case three times and confirm the king's will before the execution of the death penalty. This practice was called sambok(三覆), which means three-times-review, or gyebok(啓覆). Meanwhi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imni reexamination were frequently conducted as a special reexamination procedure for finding prisoners who had dubious or extenuating circumstances, so as to mitigate the death sentence. In the 19th century, the simni reexamination became the general way of disposing death penalty cases instead of the gyebok which has no longer been practiced after 1800. Therefore, in order to study the criminal justice administration of the 19th century,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nd understand trends and features of the era of simni, in which criminals charged with murder and manslaughter were treated and punished without death sentence. However, the features of that era are difficult to examine. They can be reconstructed only when fragments are collected and connected one by one from the vast criminal case records in Ilseongnok(日省錄), or Records of Daily Reflections, Chujogyeolokrok(秋曹決獄錄), which are the records of the decisions and dispositions of criminal cases by the Ministry of Justice, and Janggyedeungnok(狀啓謄錄), which consists of copies of governors’ reports to the King. Combining these three records provides a series of case records for 64 prisoners. In this article, we explored aspects of this era using this archive. Highlights of the 64 case records are presented to help the reader grasp the reality and trends of this period at a glance, and provide useful and interesting cases for the study of legal history and law and socie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