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江右學者의 拱玉臺 유람과 공간 의미 (Gangwoo Scholars(江右學者)’ Gongokdae(拱玉臺) Tour and the Meaning of the Spac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23.12
26P 미리보기
江右學者의 拱玉臺 유람과 공간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79호 / 175 ~ 200페이지
    · 저자명 : 강정화

    초록

    공옥대는 현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병천리에 있는 야트막한 산이다. 엄청나게 널찍한 들판에 공옥대만 불쑥 솟아있는데, 일제 강점기에 대대적인 경지 정리가 이루어질 때 밀어서 농지로 만들었어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만큼, 높지도 넓지도 않은 언덕 같은 산이다. 이 평범하기 그지없는 공간에 강우지역 남명학파 인물의 수백 년 역사와 문화가 간직되어 있어 주목해 보았다.
    공옥대는 1589년 9월 어느 날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 각재(覺齋) 하항(河沆)과 송정(松亭) 하수일(河受一) 등 24인이 산수 속에서 심신을 단련하고 유식(遊息)을 취하며 유람하던 공간이다. 이때 참여한 24인은 대개 강우지역에서 명망이 두텁던 남명학파 인물들이다. 그렇지만 이들의 유람은 그 직후에 있었던 기축옥사(己丑獄事)와 임진왜란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이어지지 못했고, 관련 작품도 하수일의 기문(記文)과 한시 1수 정도가 남아 있을 뿐이다.
    그러나 그로부터 2백 년도 더 지난 19세기에 들어와 강우지역 문인에게서 공옥대 유람이 갑자기 부상(浮上)하였다. 그들은 공옥대를 찾아가 과거 강우학자들의 유람을 소환하여 그들의 유람을 회고하고 그 뜻을 계승하려 노력했다. 이 시기에 공옥대 유람 한시가 대거 나타났고, 그들의 뜻을 계승하려 했던 하식원(河植源)은 공옥대 주변에 공옥정(拱玉亭)을 지어 회합 장소로 제공하였다. 특히 24현 문중의 후손들은 공옥대 유계(儒契)를 만들어 정기적인 회합을 진행하였고, 근년에는 공옥대 유계를 중심으로 그 옆에 공옥루(拱玉樓)를 건립했다. 공옥대에 서린 역사와 문화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라 할 수 있다.
    19-20세기에 산출된 공옥대 한시는 수백 년 동안 잊혔던 공옥대를 다시 세상에 드러내는 희열, 24현에 대한 추숭, 강우문인으로서 이를 계승하려는 의지 등이 포괄적으로 드러나 있다. 그리고 공옥대가 주목받을 수 있었던 것은 19-20세기 강우지역에 일었던 남명정신 계승 활동과 연계되어 있다. 인조반정(1623) 이후 강우지역에서 남명학은 쇠퇴하였지만, 19-20세기에 이르러 수많은 강우학자의 대대적인 학술활동 못지않게 남명정신 계승을 위한 사회적 활동이 진행되었다. 공옥대를 중심으로 진행된 다양한 활동 또한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영어초록

    Gongokdae is a low mountain located in current Byeongcheon-ri, Okjong-myeon, Hadong-gun, Gyeongsangnam-do. Only Gongokdae rises in an incredibly wide field. It is a hill-like mountain that is neither high nor wide to the extent that it wouldn't be strange at all if it was cut and turned into farmland when the large-scale arable land rearrangement was carried ou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ttention was paid to this endlessly ordinary space because it preserves hundreds of years of history and culture of the Gangwoo region Nammyeong school figures.
    Gongokdae is a space where on a day in September 1589, 24 literary persons of Nammyeong (南冥) Jo Sik (曺植), including Gakjae (覺齋) Ha Hang (河沆) and Songjeong (松亭) Ha Su-il (河受一), cultivated their mind and body, and toured while taking a rest. The 24 persons who participated at this time were mostly people from Nammyeong school, which had a strong local reputation in the Gangwoo region at the time in the magnetic field(磁場) of Nammyeong study(南冥學). However, their tour could not continue continuously due to the Gichuk Purge (己丑獄事) and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n 1592 that occurred immediately after the tour, and among related works, only Ha Su-il‘s notes and one Chinese poem remain.
    However, in the 19th century when more than 200 years passed, Gongokdae tour suddenly emerged among literary persons in the Gangwoo region. They visited Gongokdae and summoned the tour of past Gangwoo scholars to reminisce about their tour and made effort to inherit their mind. During this period, a large number of Gongokdae tour Chinese poems appeared, and Ha Sik-won(河植源), who wanted to inherit their mind, built Gongokjeong (拱玉亭) around Gongokdae and provided it as a meeting place. In particular, the descendants of the 24 sages’ families established the Gongokdae Confucian gye (儒契) to hold regular meetings, and in recent years, Gongokru (拱玉樓) was built next to the Gongokjeong mainly by Gongokdae Confucian gye. It can be said that the history and culture involving Gongokdae are still ongoing.
    The Gongokdae Chinese poems produced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comprehensively reveal the joy of revealing Gongokdae, which had been forgotten for hundreds of years, to the world again, the admiration for the 24 sages, and the will to inherit their mind as Gangwoo literary persons. And the reason Gongokdae was able to attract attention is related to the Nammyeong spirit succession activity that occurred in the Gangwoo region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Nammyeong study declined in the Gangwoo region after Injo Rebellion (1623), but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social activities to inherit the Nammyeong spirit were carried out as much as the large-scale academic activities of numerous Gangwoo scholars. Various activities conducted centering on Gongokdae can also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