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보퓨란 처리 방법 별 벼멸구에 대한 살충 효과 판별 최적 시기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응용곤충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56권 / 4호
ㆍ저자명 : 이시우, 정진교, 서보윤, 박창규
ㆍ저자명 : 이시우, 정진교, 서보윤, 박창규
한국어 초록
관주처리에 의한 벼멸구 흡즙 섭식 독성, 잎 침지처리에 의한 접촉독성과 식물체내 침투에 의한 섭식독성, 미량국소처리에 의한 표피 접촉 독성 등, 처리 방법에 따른 카보퓨란의 벼멸구에 대한 살충 작용 특성을 분석하였다. 카보퓨란 관주처리는 시간에 따른 벼멸구의 살충력 변화가 2 가지 패턴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8~30 ppm)의 처리에서는 급격히 사충율이 올라가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율이 낮아지는 로그곡선의 형태와 낮은 농도(1~4 ppm)의 처리에서는 사충율 증가 패턴이 S 자 모양의 곡선 형태를 보였다. 관주처리 시 높은 농도에서는 처리 효과가 즉시 나타나 하루 만에 치사율이 40% 이상 도달하였으나 상대적으로 낮은 1~2 ppm의 농도에서는 처리 5일 후에야 80~100%에 달하는 사충율을 얻을 수 있었다. 침지처리는 사충율이 처리 1일 후 약효가 급격히 증가하고 이 후 증가율이 낮아졌다. 국소처리도 침지처리와 비슷한 경 향을 보이나 침지처리와는 달리 처리 후 3일 이후에는 사충율이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약효 최적 조사 시간은 관주처리에서 처리 후 2일 (42시 간)이었으며 침지처리와 국소처리에서는 처리 후 1~2일이 약효 조사 적기였다.영어 초록
For determining the insecticidal effect of Carbofuran on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ucking toxicity by drenching application, sucking and contact toxicity by leaf dipping application, and contact toxicity by topical application were examined. Drenching caused two types of mortality patterns. One was logarithmic curve at a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 (8~30 ppm) with over 40% mortality in 24 h, and the other was an S-shaped curve at low concentrations (1~4 ppm) with over 60% mortality on the fifth day after Carbofuran treatment. Leaf dipping application caused a rapid increase in mortality in a day, and this effect decreased steadily with time. Topical application showed steep increase in mortality in a day, and hardly increased thereafter. The best mortality evaluation time for the drenching application was the second day (42 h), and that for the leaf dipping and topical applications was the first or second day after Carbofuran application. When the insecticide has systemic effects, drench application provides the best efficacy and its insecticidal effects persist for a longer time than any other application method.참고 자료
없음"한국응용곤충학회지"의 다른 논문
11종의 살비제를 이용한 5개지역 닭진드기의 감수성 평가8페이지
전남지역에 발생하는 풀무치(Locusta migratoria )의 형태적 특징 및 발생생태6페이지
배추 묘령과 선충접종밀도가 사탕무씨스트선충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8페이지
토마토 반촉성 시설 재배에서 천적중심 온실가루이와 총채벌레 관리모델10페이지
머리대장가는납작벌레의 합리적 방제 물질로 이란 서양가새풀 정유의 살충효과 평가8페이지
벼에서 흑다리긴노린재 [Paromius exiguus (Distant)] (Hemiptera: Ly..8페이지
멸구과 8종의 ITS2 DNA 염기서열 비교 분석과 고리매개등온증폭법(LAMP)을 이용한 벼멸구 특..9페이지
전라남도 해남과 무안의 풀무치 개체군에 대한 마이토콘드리아 NADH dehydrogenase sub..6페이지
대추 비가림하우스 내 화분매개곤충의 수분 특성 및 효과6페이지
블루베리와 복숭아에서 전정가지 수분함량이 갈색날개매미충 알 부화에 미치는 영향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