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수련생을 위한 태권도 프로그램 방안
- 최초 등록일
- 2023.03.13
- 최종 저작일
- 2023.01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국기원 승품단심사 논문
논문주제: 장애인 수련생을 위한 태권도 프로그램 방안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태권도
1) 태권도의 정의
2) 태권도의 가치
3) 태권도의 역사
2. 장애인 태권도
3. 장애인 태권도의 세계화
4. 장애인 태권도의 장애 유형
1) 청각장애
2) 지적장애
3) 시각장애
4) 지체장애
5. 장애인 수련생을 위한 태권도 프로그램 방안
1) 청각 장애인을 위한 태권도 수화 개발
2) 청각 장애인을 위한 태권도 교본 영상 개발
3) 시각 장애인을 위한 태권도 교본 개발
4) 지체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활용 방안
5) 지적 장애인을 위한 태권도 프로그램 영상 개발
6) 장애인 태권도 수련을 위한 e-book 제작
7) 장애인 태권도 수련을 위한 피드백 프로그램 개발
8) 특수학교를 활용한 프로그램 제공
9) 장애인 복지관을 활용한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 개발
10)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 개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서론
오늘날에는 자신의 건강을 유지하고 취미생활을 즐기기 위해서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다. 사람은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지고 있으나 장애인들은 장애를 가지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여러 제약이 생긴다. 우리나라는 장애인들의 인식개선과 차별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애인차별금지법을 만들었고 장애인 체육에 대해 힘쓰고 있다. 많은 장애인들이 현재 체육에 참여하고 있으며 장애인들 역시 체육활동에 참여를 하고 싶어한다. 장애인들의 신체활동은 치료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삶의 의지가 크게 향상된다. 장애인들은 체육활동을 통해서 자부심을 가질 수 있으며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따라서 장애인들에게 있어 체육은 매우 중요한 활동이다.
태권도는 우리나라 전통 스포츠로 모든 신체를 골고루 사용하며 정신적 수련을 통해서 정신력도 강화시켜 준다. 태권도는 역사 속에서 우리 민족과 함께 했고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시범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꾸준하게 올림픽 종목으로 선정되고 있다. 태권도의 세계화가 이루어지면서 전세계인이 즐기는 스포츠가 되었지만 비장애인들이 즐기는 태권도에 비해 장애인 태권도는 보편화되어 있지 않다. 장애인 태권도가 생긴지는 10년이 조금 넘었다. 현재 장애인 태권도는 패럴올림픽의 종목으로 선정되었기 때문에 장애인 태권도를 발전시켜 그 위상을 높여 나가야 한다. 아직까지는 장애인 태권도 수련생을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마련되지 않아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이를 발전시키기 위한 계획을 구성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태권도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장애인 태권도 프로그램 방안을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도록 하겠다.
Ⅱ.본론
1.태권도
1)태권도의 정의
태권도는 우리 민족의 전통무예로 외부의 공격을 막고 위협 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전을 해왔다. 태권도의 의미는 이름을 해석해보면 알 수 있다. 태권도의 태(跆)는 발을 의미하며, 권(拳)은 주먹을 의미하고, 도(道)는 원리를 의미한다.
참고 자료
장보인, [패럴림픽] 도쿄서 데뷔하는 태권도…'종주국' 한국에선 주정훈 1명 출전, 연합뉴스, 2021.09.21.
https://www.yna.co.kr/view/AKR20210901177100007
이준호, 역사사회학적 관점으로 바라본 태권도의 올림픽 퇴출담론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김준호, SWOT 분석을 통한 장애인 태권도 활성화 방안, 군산대학교 대학원, 2020
이경식, 청각장애인 태권도의 제도 개선 방안,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3
신장하, 장애인 태권도 수련의 특성화 프로그램 및 지도자 양성제도 탐색, 영남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09
오지현, 장애인태권도 선수의 참여동기가 참여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21
김정대, 대학 태권도선수의 운동상해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동양대학교 대학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