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LA-8 : 막결합형 연속회분식 생물반응조에서 호기성반응단계의 지속시간이 분리막의 여과특성에 미치는 영향
- 최초 등록일
- 2020.11.03
- 최종 저작일
- 2020.11
- 1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1,000원

판매자한국학술정보(주)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공업화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 2002권
ㆍ저자명 : 강인중 , 이정학
한국어 초록
SBR(Sequencing Batch Reactor) 공정에 분리막을 결합한 막결합형 SBR (Membrane Coupled SBR, MSBR) 공정은 기존 SBR 공정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SBR 공정의 주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그러나 MSBR 공정은 기존의 MBR (Menbrane Bio-Reactor) 공정과 달리 매우 다양한 조건에서 분리막의 운전이 이루어진다. 그 이유는 SBR 공정의 가장 큰 특징이 운전의 다양성이며 MSBR 공정에서도 이 SBR의 특성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MSBR공정의 확립을 위해서는 운전조건 변화에 따른 분리막의 여과특성 변화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MSBR에서 호기성반응단계의 지속시간이 분리막의 여과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1)페수의 유입 (10min), 2)호 기성 반응 (1~6hr) 3)정밀여과(1hr)의 순서로 MSBR을 구성하여 교환율은 50%로 폴리에틸렌 재질의 중 공사 막으로 정밀여과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호기성반응단계의 지속시간이 MSBR공정의 전체 운전시간과 총 투과수의 양에 큰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반응조 내의 DO, COD, EPS 농도 및 케이크의 여과저항, 비저항, 케이크 압축도를 측정하여 이러한 정밀여과 특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원인을 규명하였다.
참고 자료
없음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의 다른 논문
더보기 (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