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신화와 문학의 증산 신학적 전개 - 상상력의 법술(法術)과 전유(專有)의 신학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대진대학교 대진학술원
ㆍ수록지정보 : 대순사상논총 / 35권
ㆍ저자명 : 정재서 ( Jung Jae-seo )
ㆍ저자명 : 정재서 ( Jung Jae-seo )
한국어 초록
본고에서는 『전경(典經)』의 강증산(姜甑山) 언설에 수용된 신화와 문학 자료를 대상으로 그것들이 『전경』 텍스트의 고유한 종교 신학적 맥락 안에서 어떻게 의미화 되었는지, 그 전유(專有)의 상황과 원리를 고찰해 보았다. 먼저 『전경』에서의 신화 수용을 강태공(姜太公), 사명(司命), 치우(蚩尤), 우사(雨師), 조왕(竈王), 망량(魍魎), 개고기, 동도 지(東桃枝) 등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는데 이들 중의 상당수가 동이계 (東夷系) 신화와 상관되며 민간에 깊게 뿌리를 둔 습속이라는 사실이 주목된다. 이는 강증산의 단학파(丹學派)적 성향, 수정주의적 역사의식, 민중의식 등과 상관된다.다음으로 『전경』에서의 문학 수용을 시와 산문, 소설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시의 경우 강증산의 시재(詩才)와 취향에 바탕하여 당시(唐詩), 창작시 등이 수용되었고 산문, 소설의 경우 『서경(書經)』, 『사기(史記)』, 『삼국연의(三國演義)』, 『서유기(西遊記)』, 『서주연의(西周演義)』 등이 수용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이들은 예언, 치병, 수련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운용되었는데 고전 명구(名句)나 소설이 지닌 대중적 감화력이 이 과정에서 종교적으로 전유되어 힘을 발휘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전경』에서 신화, 문학적 상상력이 어떤 메카니즘에 의해 증산 신학으로 전화되었는지를 살펴보았는데 문자와 이미지의 주술적 역량, 시가 문학의 감성인식 기능과 표현 특성, 미메시스의 재현 혹은 창조 능력 등이 신화, 문학적 상상력뿐만 아니라 공사 거행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기능을 발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 3가지 설명 기제(機制)는 『전경』 언술의 의미화 과정을 파악하는 데에 일정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종합하면 강증산의 삼교합일적, 회통적 인식을 바탕으로 전개된 신화, 문학적 상상력은 지배문화의 정통론적인 관념을 돌파하여 증산 신학의 민중성, 보편성을 구현하는 데에 일조하였다. 아울러 그것은 강증산의 구세 이념을 광포(廣布)하는 데에 큰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고유의 종교 법술로 변용되어 공사 수행의 중요한 방편으로 기능하였다.영어 초록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principle of appropriation by which mythology and literature were accepted in the unique religious context of The Canonical Scripture (Jeongyeong 典經).First, we knew that almost all of the gods that appeared in the discourse of Kang Jeungsan (姜甑山) were related to Eastern Yi (東夷) mythology and deeply rooted in folklore. This is because the cultural tendency and historic consciousness of Kang Jeungsan was influenced by Danhakpa (the Danhak School 丹學派).Secondly, when we investigated the acceptance of literature into The Canonical Scripture, we discovered that Tang Poetry (唐詩),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Sanguoyanyi 三國演義), and Journey to the West (Xiyouji 西遊記) were widely accepted in Kang Jeungsan’s discourse. These works were used in diverse ways such as predictions, healing, and meditation. We knew that popular classical work like these were religiously appropriated in the context of The Canonical Scripture.Lastly, we investigated the mechanisms by which mythical and literary imagination was transformed into the Jeungsanist religious movements. Those mechanisms included the magical power of letter and images, sense-cognition of poetry, and the representational ability of mimesis.In conclusion, mythical and literary imagination helped Jeungsanist religious movements gain popularity and spread Kang Jeungsan’s soteriology. This is especially true of how it transformed into unique religious techniques which functioned as key elements of the Reordering Works (公事).참고 자료
없음"대순사상논총"의 다른 논문
신인조화(神人調化) 또는 신인조화(神人調和) -한국 대순진리회와 대만 소회(召會: Local Chu..31페이지
동아시아 원의 해결 - 대만 유심성교와 한국 대순진리회의 해원 의의와 현대적 실천 -32페이지
본부와 방면 - 대순진리회 종교조직의 특성 -50페이지
세계유산 관점에서의 대순진리회 도장의 가치34페이지
도교 생태사상이 반영된 도교 건축의 현대적 의의34페이지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 時習)의 ‘광자(狂者)’ 성향에 관한 연구28페이지
대순진리회 생태론 연구서설 - 상생생태론-36페이지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 신격의 서사적 상상력 탐구 - 『봉신연의(封神演義)』의 문..39페이지
조선 미술에 내재한 음양합덕과 태극 - 대순사상을 중심으로 -37페이지
예수의 성육신과 증산의 인신강세 - 종교학적 의의에 대한 고찰 -3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