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공간에서 비정상 정보 유포 기법의 시간에 따른 변화 분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ㆍ수록지정보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21권 / 3호
ㆍ저자명 : 이시형 ( Sihyung Lee )
ㆍ저자명 : 이시형 ( Sihyung Lee )
한국어 초록
인터넷 포털 사이트와 사회 관계망 서비스 등의 온라인 공간(online communities)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접속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이 의견을 교환하고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이와 함께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이익을 위해 의도적으로 유포하는 비정상 정보도 증가하고 있는데 허위 상품 평이나 정치적 선동 의견이 이에 해당한다. 기존에는 이러한 비정상 정보탐지를 위해 한 시점에서의 비정상 정보를 수집하고 특징을 분석하여 검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비정상 정보를 유포하는 기법은 기존의 탐지 시스템을 회피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파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변화하므로 탐지 시스템도 이에 맞추어 변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정상 정보 유포 기법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 시스템은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활용해 비정상 정보를 유포 방식에 따라 군집(cluster)으로 분류하며 이러한 군집의 변화를 분석하여 유포 방식의 변화를 추적한다. 제안한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해 3번의 선거 기간 전후에 포털 사이트에서 수집된 백만 개 이상의 의견을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 비정상 정보 게재에 자주 사용되는 시간, 추천수 조작 방법, 다수의 ID 활용 방법 등에 대한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 시스템을 주기적으로 사용해 탐지 시스템을 개선한다면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비정상 정보의 유포를 탐지할 수 있을 것이다.영어 초록
Online communities, such as Internet portal sites and social media, have become popular since they allow users to share opinions and to obtain information anytime, anywhere. Accordingly, an increasing number of opinions are manipulated to the advantage of particular groups or individuals, and these opinions include falsified product reviews and political propaganda. Existing detection systems are built upon the characteristics of manipulated opinions for one particular time period. However, manipulation tactics change over time to evade detection systems and to more efficiently spread information, so detection systems should also evolve according to the changes. We therefore propose a system that helps observe and trace changes in manipulation tactics. This system classifies opinions into clusters that represent different tactics, and changes in these clusters reveal evolving tactics. We evaluated the system with over a million opinions collected during three election campaigns and found various changes in (i) the times when manipulations frequently occur, (ii) the methods to manipulate recommendation counts, and (iii) the use of multiple user IDs. We suggest that the operators of online communities perform regular audits with the proposed system to identify evolutions and to adjust detection systems.참고 자료
없음"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의 다른 논문
치매 환자를 위한 딥러닝 기반 이상 행동 탐지 시스템12페이지
BERT와 지식 그래프를 이용한 한국어 문맥 정보 추출 시스템9페이지
Real-time Human Pose Estimation using RGB-D images and ..9페이지
A New Hyper Parameter of Hounsfield Unit Range in Liver..9페이지
Block based Smart Carving System for Forgery Analysis a..10페이지
액티비티별 특징 정규화를 적용한 LSTM 기반 비즈니스 프로세스 잔여시간 예측 모델10페이지
디지털바이오헬스케어(Digital Bio-Healthcare)산업의 파급효과 및 투자효과 분석: 2..11페이지
A Study on the Internalization of Sensor Technology by ..10페이지
The Effects of the Specific Attitudes toward the Fourth..8페이지
A Flexible and Expandable Representation Framework for ..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