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의 경력장애요인 및 경력개발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A중앙부처 공무원을 대상으로
- 최초 등록일
- 2020.08.04
- 최종 저작일
- 2020.08
- 26페이지/
어도비 PDF
- 가격 6,100원

판매자한국학술정보(주)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인사행정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인사행정학회보 / 19권 / 2호
ㆍ저자명 : 홍혜승 ( Hye-seung Hong ) , 류은영 ( Eun-young Ryu )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경력개발이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궁극적으로 직무만족에 기여하는지를 분석하였으며, 다양한 경력장애요인이 직무스트레스와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는 A중앙부처에 근무하는 공무원 1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장애요인 중 직무적합성 결여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의 경력개발은 개인차원의 경력계획과 조직차원의 경력관리로 구분하였는데, 이들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음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는 다수의 선행연구의 결과와 같이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력관리와 직무만족 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부문에 종사하고 있는 중앙공무원들이 지각하고 있는 경력장애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였으며,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의 역기능을 경력개발 지원을 통해 최소화 하거나 제거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직무만족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했다.
영어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the mediating role of job stress in the effects of career disability factors and career development on job attitude. The data for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survey of 177 in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The specific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lack of job suitability among the factors of career impairment, the higher the employee's job stress. Second, the career development in this study was divided into individual-level career planning and organization-level career management, and they were confirm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at they could have a negative effect on job stress and increase job satisfaction. .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as the result of many previous studies.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career management and job satisfaction was verified. This study has identified what causes career obstacles perceived by central officials in the public sector, and ultimately contributes to job satisfaction by minimizing or eliminating the adverse effects of stress that can occur through career development support.
참고 자료
없음
"한국인사행정학회보"의 다른 논문
더보기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