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분야 인공지능과 블록체인 융합방안 연구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ㆍ수록지정보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21권 / 2호
ㆍ저자명 : 김세용 ( Seyong Kim ) , 권혁진 ( Hyukjin Kwon ) , 최민우 ( Minwoo Choi )
ㆍ저자명 : 김세용 ( Seyong Kim ) , 권혁진 ( Hyukjin Kwon ) , 최민우 ( Minwoo Choi )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인공지능의 국방 분야 활용 시 데이터 위ㆍ변조 방지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방안을 연구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공지능은 빅 데이터를 다양한 기계학습 방법론을 적용하여 군집화하거나 분류하여 예측하는 기술이며 미국을 비롯한 군사 강대국은 기술의 완성단계에 이르렀다. 만약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의 데이터 위·변조가 발생한다면 데이터의 처리과정이 완벽하더라도 잘못된 결과를 도출할 것이며 이는 가장 큰 적의 위험요소가 될 수 있고 데이터의 위·변조는 해킹이라는 형태로 너무나 쉽게 가능하다. 만약 무기화된 인공지능이 사용하는 데이터가 북한으로부터 해킹되어 조작되어 진다면 예상치 못한 곳의 공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인공지능의 사용을 위해서는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하는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는 해수함수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연결된 컴퓨터에 분산 저장하여 한 대의 컴퓨터가 해킹되더라도 연결된 컴퓨터의 과반 이상이 동의하지 않는 한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는 기술인 블록체인을 적용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how to apply block-chain technology to prevent data forgery and alteration in the defense sector of AI(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a technology for predicting big data by clustering or classifying it by applying various machine learning methodologies, and military powers including the U.S. have reached the completion stage of technology. If data-based AI's data forgery and modulation occurs, the processing process of the data, even if it is perfect, could be the biggest enemy risk factor, and the falsific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data can be too easy in the form of hacking. Unexpected attacks could occur if data used by weaponized AI is hacked and manipulated by North Korea. Therefore, a technology that prevents data from being falsified and altered is essential for the use of AI. It is expected that data forgery prevention will solve the problem by applying block-chain, a technology that does not damage data, unless more than half of the connected computers agree, even if a single computer is hacked by a distributed storage of encrypted data as a function of seawater.참고 자료
없음"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의 다른 논문
가상현실(VR/AR) 기술 기반으로 군 안전 및 자살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체험훈련장 구축 방안에 관..10페이지
국방M&S 정보관리 현황분석 및 획득업무 지원체계 개선방안 연구8페이지
군 폐쇄망 환경에서의 모의 네트워크 데이터 셋 평가 방법 연구10페이지
FPGA의 Hardware Trojan 대응을 위한 기계학습 기반 탐지 기술 연구11페이지
DVB-RCS2 기반 차세대 군 위성 네트워크 랜덤 액세스 채널 적응형 제어 기법10페이지
피싱 메일 공격조직에 대한 프로파일링 사례 연구7페이지
사이버전 수행절차 운영개념에 관한 연구8페이지
지문인식 모듈 기반의 FIDO 사용자 인증기술을 이용한 쇼핑몰에서 블록체인 활용 설계8페이지
A Proposal of Fake-free Ranking Method and Its Applicat..8페이지
랜덤 심볼에 기반한 정보이론적 학습법의 스텝 사이즈 정규화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