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 단거리 육상선수들의 기능성 움직임 검사(Functional Movement Screen)와 전문체력의 상관성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체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체육학회지 / 59권 / 2호
ㆍ저자명 : 손희정 ( Son Hee-jeong )
ㆍ저자명 : 손희정 ( Son Hee-jeong )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남자 육상 단거리 선수들의 기능성 움직임을 평가하고 전문체력과의 상관성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G스포츠과학센터에 방문한 남자 육상 단거리 선수 43명(중ㆍ고ㆍ대학)을 대상으로 기능성 움직임 검사와 등속성 근력 및 무산소성 파워를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기능성 움직임 검사의 총점은 대학교 집단이 가장 높았으며 고등학교, 중학교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능성 움직임 검사의 딥 스쿼트, 허들스텝, 인라인 런지의 세부항목에서 전문체력변인간의 유의한 상관성이 확인되었다. 기능성 움직임 검사의 딥스쿼트는 최대파워(r=.360), 평균파워(r= .373), 피로지수(r= .365)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으며 허들스텝은 등속성 최대신근력(좌: r=.327, 우:r=.377), 최대굴근력(좌: r=.350, 우: r=.390)에서 상관성이 나타났다. 인라인런지는 등속성 최대신근력(좌: r=.327, 우:r=.377)과 최대굴근력(좌: r= .350, 우: r=.390) 및 최대파워(r=.414), 평균파워(r= .354) 에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그밖에 회전안정성이나 몸통안정성 푸쉬업 등 항목은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단거리 육상선수의 기능성움직임 검사는 중등부가 가장 낮게 평가되어 현장에서 이에 대한 개선 노력이 필요하며 기능성움직임의 세부항목(딥스쿼트, 허들스텝, 인라인런지)과 전문체력간의 의미 있는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남자 단거리 육상선수들의 기능성 움직임 검사와 전문체력 변인간의 상관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우수선수 선발 및 육성과정에서 과학적 기반의 평가지침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Functional Movement Screen(FMS) and specific physical fitness variables in male sprinter. The study included 43 male sprinters (age, 14-23 years) in Gyeonggi province during 2018. The total score of FMS was highest in the university group, and this result followed by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 The Deepsquar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naerobic peak power (r= .360), the mean power (r= .373) and the fatigue index(r= .365), and the hurdle step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sokinetic extention peak torque(L: r= .327, R: r= .377), (L: r= .35, R:r=. 390). Inline rang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sokinetic extention peak torque (L: r= .327, R: R= .377) and isokinetic flexion peak torque(L: r= .350, R: r= .390), and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in both the anaerobic peak power(r= .414) and the mean power(r= .354). As a result, 3 items in FM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pecific physical fitness variabl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pecific physical fitness evaluation and FMS tests. in training plans. Therefore, this study recommends that male sprinters consider their physical fitness with FMS as an evaluation guideline for their scientific based training plans and athletic performance.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체육학회지"의 다른 논문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식이습관과 신체활동이 신장, 체중 및 BMI에 미치는 영향16페이지
특수체육지도자의 정체성 형성과정과 의미에 관한 생애사 연구11페이지
엘리트 골프선수의 비거리와 기초 및 전문체력 변인들과의 상관관계 연구14페이지
정적 및 동적 스트레칭에 의한 근관절기능, 근육표면온도 및 근신경전도율에 관한 비교 연구15페이지
스포츠혁신위원회 권고문 분석을 통한 한국사회 스포츠패러다임의 방향 설정과 과제18페이지
디지털 헬스케어 패러다임에 따른 무용웰니스의 티핑 포인트 전망15페이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스포츠과학기술융합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정책 이슈와 과제9페이지
자전거 동호인의 과시적 여가소비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여가만족 그리고 레크리에이션 전..16페이지
은퇴선수들의 생활체육 럭비 동호회로의 재사회화14페이지
공공스포츠센터의 공공성에 대한 인식이 스포츠복지 인식에 미치는 영향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