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 문학 번역의 시차 - 한강의 『채식주의자』 독역본 번역 비평을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구 서울대학교 독일학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독일어문화권연구 / 28권
ㆍ저자명 : 오은교 ( Oh Eungyo )
ㆍ저자명 : 오은교 ( Oh Eungyo )
한국어 초록
본고는 한강의 『채식주의자』의 독일어 번역본에 대한 페미니즘적,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의 번역 비평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텍스트 분석에 앞서 우선 식민주의와 글로벌 이주라는 현실 속에서 태동한 번역학의 이론적 논의들을 살핀다. 번역은 ‘시간성’의 문제를 촉발시킨다. 번역에 관한 탈식민주의적 연구들은, 서구와 비서구의 문화적 차이를 문명적 격차로 인식하게 만들었던 전통적인 인류학적 접근 방식이 식민화 사업의 주요 근거가 되었음을 알려 준다.시간성의 문제는 실제 문학 작품의 번역 과정에서 인물 간의 시각 차이를 해석하는 문제를 통해 가시화된다. 한강의 『채식주의자』는 육식을 끊고 식물이 되려 하는 여성 주인공의 욕망을 남편의 시점을 통해 드러내는 작품이다. 그러나 독일어 번역본에서는 원본에서 두드러지는 여성 인물의 동물적, 육체적 특징과 남성 인물의 수동 공격적 성향의 가부장성이 경감되어 번역되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이 소설에서 문제시되는 남녀 주인공의 갈등이 한국의 가부장적 가족 관계의 특수성이나 여성 차별의 구조적 문제가 아닌 합리적인 개인들 간의 싸움으로 표현되었다.
나아가 본고는 한강 작가의 국제상 수상을 두고 유서 깊은 서양 문학계가 한국문학을 인정한 것이라고 보는 식민주의적 인식을 비판하고, 비참하고 미친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한국형 서사들에 대한 세계적인 주목이 동양을 비합리적인 타자로 인식하고자 하는 오리엔탈리즘적 욕망의 반영일 수 있음을 지적한다. 번역 비평은 번역본의 기술적 오류를 지적하는 것을 넘어 문학작품을 더욱 풍성하게 독해하는 일에 기여할 수 있다.
영어 초록
Der vorliegende Aufsatz versucht eine Kritik der deutschen Übersetzung von Han Kangs Roman Die Vegetarierin aus feministischer und postkolonialer Sicht. Zunächst wird den Übersetzungstheorien nachgegangen, die in der Realität des Kolonialismus und der Migration aufgetaucht sind. Die Übersetzung löst zugleich Vor- und Nachzeitigkeit aus. Der Postkolonialismus lehrt uns, dass aus einer traditionellen anthropologischen Perspektive der kulturelle Unterschied zwischen westlichen und nicht-westlichen Ländern häufig als Abstand im Entwichklungprozess der Menschheit bestimmt wird und das darauffolgende Übersetzungsverfahren beeinflusst.Die Zeitdifferenz kommt in Betracht, wenn der Übersetzer unterschiedene Perspektiven von Figuren interpretiert. Weil der Übersetzer den zielsprachlichen Leser berucksichtigen muss, verändert sich das Original. Han Kangs Die Vegetarierin handelt von einer Frau, die eine Pflanze werden möchte. Der Erzähler ist ihr Ehemann, der seine Frau nicht verstehen kann. Aber Die Vegetarierin auf Deutsch vermindert sowohl die körperlichen und tierischen Eigenschaften der weiblichen als auch die passive Aggression der männlichen Figur. Indem der spezifische Sexismus und die patriarchale Struktur in der Koreanfamilie zu allgemeinen persönlichen Eheproblemen werden, können die deutschen Leser diese Geschichte leichter akzeptieren.
Die Vegetarierin hat einen internationalen Preis (The Man Booker International Prize 2016) bekommen. Und in letzter Zeit haben manche koreanische Erzählungen auf dem internationalen Markt Erfolg. Die vorliegende Untersuchung kritisiert auch das besonders große Aufsehen dieser Erzählungen, die nur von verruckten und kummerlichen Personen in Korea handeln, weil sie eine Sichtweise reflektieren, in der Europäer Asiaten als vormoderne und irrationelle Existenzen darstellen. Durch die Analyse wird aufgezeigt, dass Übersetzungskritik nicht nur technischen Fehler hinweisen soll, sondern daruber hinaus auch einen neuen Aspekt zum Text anbieten kann.
참고 자료
없음태그
"독일어문화권연구"의 다른 논문
헤르만 헤세 문학 번역의 비교비평 시도 - 『나르치스와 골드문트』를 중심으로23페이지
일신론의 폭력과 다신론의 폭력 - 얀 아스만과 모토오리 노리나가의 ‘대항종교’에 대하여24페이지
“번역에서부터 시작해 보는 게 어떨까?” 시적 원칙으로서의 번역성 - 다와다의 「울야나 볼프를 위한..48페이지
끝 또는 새로운 시작? 샤미소 상의 폐지에 대하여20페이지
요코 다와다의 『눈 속의 에튜드』, 포스트식민주의 독해 시도로22페이지
정체성과 권력의 협상 장소로서 초-언어적 공간이 상호문화적 번역에서 지닌 역할 - 포스트식민적 전망26페이지
문학에 나타난 행위자로서의 사물30페이지
바이마르 고전주의의 대표자들: 괴테와 쉴러23페이지
독일 자연주의 서정시 고찰 - 아르노 홀츠의 「서정시의 혁명」과 『판타주스』를 중심으로29페이지
독일 문학아카이브의 역사와 현재 - 국립한국문학관을 위한 제언2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