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화 예술의 형태에 따른 의미와 기호체계 -수태고지, 아담의 창조를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일러스아트학회
ㆍ수록지정보 : 조형미디어학 / 22권 / 4호
ㆍ저자명 : 이향재 ( Lee Hyang-jai )
ㆍ저자명 : 이향재 ( Lee Hyang-jai )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 논의의 대상은 프라 안젤리코의 ‘수태고지’와 미켈란젤로의 천지 창조 중에서 ‘아담의 창조’를 분석하여, 두 개의 작품에 관한 이론을 고찰하고 그 의미와 상징성을 통하여 의미 분석을 통한 기호작용을 고찰하였다. 특별히 이 두 개의 작품을 선정한 이유는 성서에서의 생명은 많은 증거와 그 자체의 주장에 의해 확증된 하나님의 말씀을 의미하기 때문이다.이러한 의미에서 우리에게 생명에 대한 하나님의 존재와 하나님의 말씀을 깨닫게 하는 방법으로서 서의 진리를 전파하는 도구로 사용되어 왔기 때문이다. 또한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성서를 근거로 한 기독교 이미지들은 비유와 상징을 통하여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고, 전승된 형식을 존중해서 기독교 역사와 신앙이 내재된 이미지로 표현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성화예술이 갖고 있는 기호 개념이 비교적 명확한 체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구축된 기호학의 관점들을 중심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 연구내용은 위의 두 작품에 내재된 이미지들을 해석하고 작품의 구조를 분석해 그 본질적 의미 내용을 탐구하고 분절된 표현 요소들을 의미 작용으로 해석하기 위하여 기호학적으로 접근 하였다. 결과적으로 하나님 말씀을 시각화한 성화 예술 작품의 상징성과 의미체계를 통하여 기호학적 접근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성화예술의 조형적 표현의 기표가 우리에게 어떠한 기호의 기능적 측면을 제공하고, 의미작용을 통하여 하나님 말씀이 기능적으로 어떻게 부여된 것인지를 분석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목적인 성화에 내재된 이미지에 대한 그 의미와 상징성을 통한 의미 분석과 기호작용을 바탕으로 기호체계를 성립할 수 있었다.영어 초록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analysis of the creation of Adam from Fra Angelico's Annunciation and Michelangelo's creation. The theory of two works was reviewed and the symbolic system was established through semantic analysis. Especially, the two works were chosen because life in the Bible meant the word of God, which was corroborated by much evidence and its own arguments. For in this sense, it has been used as a tool to spread the truth of the Bible as a way to make us realize God's presence and the word of God. Since the concept of symbols possessed by the Christian Art has a relatively clear system, it was necessary to focus on the views of semiotics built on them.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were explored by interpreting images embedded in the above two works and analyzing the structure of the work. And a semiotic approach was taken to interpret the semantic action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Christian Art. As a result, the symbolism and semantic action of the visualized Christian Art works based on the Bible enabled the establishment of the symbol system. And the signifier of the formative expression of the Christian Art provided a functional aspect of any symbol to people. It was also possible to analyze how God's word was functionally conferred through semantic action. Thus, the symbolic system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symbolic action of the meaning and symbolism of the Christian Ar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참고 자료
없음"조형미디어학"의 다른 논문
트랜스 브랜딩 관점으로 본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의 진화11페이지
크로스 컬처럴 디자인 관점의 중국 대학 아이덴티티 디자인 연구 -서양(영국·미국)대학과의 심벌마크 ..10페이지
영화 속 슈퍼히어로 얼굴에 재현된 미학적 실천8페이지
신디 셔먼 작품에 나타난 응시와 주체에 관한 연구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을 중심으로-9페이지
스마트폰 디자인 유형과 소비자 인식의 관계에 대한 소비자 혁신성의 조절효과9페이지
색상이 사용자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8페이지
사회적 가치를 위한 소셜 디자인 프로젝트 사례연구10페이지
비가시선 환경에서의 혼합현실 게임에 관한 연구7페이지
문화관광형시장의 브랜드 개발과 홍보에 관한 연구 -성대전통시장 브랜드 홍보 사례를 중심으로-9페이지
중국 건축 디자인 현대 세 유형 -형식과 유형의 차원에서-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