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체육활동을 위한 공공체육시설 활용 방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체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체육학회지 / 49권 / 1호
ㆍ저자명 : 김춘종(ChunJongKim) , 김경숙(KyungSookKim)
ㆍ저자명 : 김춘종(ChunJongKim) , 김경숙(KyungSookKim)
한국어 초록
이 연구는 장애인의 체육활동을 보장하고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거주지와 가까운 곳에 주민들을 위해 설립된 생활체육관에 대한 활용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장애인 체육활동을 위해 공공체육시설 분류상 복합체육시설인 생활체육관을 활용하고자, 전국 공공체육시설 및 장애인전용체육시설의 실무 자료를 분석하고 공기업 경영평가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검토하였다. 생활체육관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장애인 관련 학술지 및 학회지를 수집·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문헌연구 및 관련 기초자료를 고찰한 결과 첫째, 지역별 거점 체육시설로 활용한다. 둘째, 생애최초 체육프로그램 참여 공간 및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또는 참여하고자 하는 장애인을 위한 상담 창구로 활용한다. 셋째, 장애인 체육지도자 실기 연수·교육기관으로 활용한다. 넷째, 청소년 자원봉사자 활동 거점으로 활용한다. 다섯째, 경영평가 세부지표 수정을 통한 장애인의 체육시설 이용 촉진 및 체육프로그램 증설을 위한 환경을 조성한다.영어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measures to increase the use of the every day sports complexes that were established close to the residential areas for the residents in order to increase disabled people’s sports activities and to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level. To increase use of the every day sports complex, which is considered public sports facility for the sports activity of the disabled people, working level data concerning the public sports facility in the nation and on the sports facilities for the disabled people were analyzed, and the issue was examined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data on the public companies’ management evaluation data. To study measures for using every day sports complex going forth, journals and academic papers on the disabled people and the literatu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conduct this research, literature was related basic data were studied. First, the sports complexes will be leveraged as the stronghold sports facility for the individual areas. Second, the sports complexes are to be used as the channel for consultation for the disabled people who wish to participate in the sports activities. Moreover, the sports complexes are to be leveraged as the space for the disabled people’s participation in the sports program for the first time in their life. Third, the sports complexes will be used as the practical training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sports trainers for the disabled people. Fourth, the sports complexes will be leveraged as the stronghold for the activities of the young volunteers. Fifth, environment for the expansion of the sports programs and for vitalizing the use of the sports facilities by the disabled people through the modification of the management evaluation index will be fostered.참고 자료
없음"한국체육학회지"의 다른 논문
고령여성의 근저항트레이닝시 1RM과 RPE에 의한 운동강도 설정에 따른 근력향상 효과에 관한 연구7페이지
성별, 연령, 지각적 모델링 횟수, 자극 속도가 청소년의 타이밍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9페이지
아동의 IGF-1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신체구성, 혈중 지질변인농도 및 체력수준의 비교12페이지
플라이오메트릭훈련 실시유무에 따른 축구훈련이 지적장애 축구선수의 심폐적성 및 SOD, MDA에 미치..14페이지
림프마사지와 저항운동이 유방암환자의 수술방법에 따른 상지기능 변화7페이지
보편적 학습설계를 기반으로 한 통합체육 스포츠교육 모형 실행연구16페이지
12주간 수중보행과 지상보행운동이 편마비 장애인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8페이지
운동화와 구두 보행 시 충격 요인 차이 분석11페이지
여성들의 성숙이 드롭랜딩 시 하지의 부상위험 요인에 미치는 영향7페이지
철봉 Watanabe 내리기 동작의 향상도 평가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