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라비 동결건조분말 및 과피 추출물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특성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33권 / 5호
ㆍ저자명 : 이주희 ( Ju Hee Lee ) , 이지민 ( Ji Min Lee ) , 김경서 ( Kyoung Seo Kim ) , 김현정 ( Hyun Jung Kim )
ㆍ저자명 : 이주희 ( Ju Hee Lee ) , 이지민 ( Ji Min Lee ) , 김경서 ( Kyoung Seo Kim ) , 김현정 ( Hyun Jung Kim )
영어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Yanggaeng added with kohlrabi peel extract and freeze-dried kohlrabi powder at different amounts of 0%, 1%, 3%, and 5%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cooked white beans of Yanggaeng. Methods: The moisture, total soluble solids, and reducing sugar contents, pH, acidity, Hunter’s color values,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nggaeng were determined. Results: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from 44.36% to 46.69% with an increasing ratio of freeze-dried kohlrabi powder from 1% to 5%. Total soluble solid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ll Yanggaengs. The pH level decreased while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kohlrabi powder amount. For color, lightness and yellowness increased; however, rednes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kohlrabi powder. The higher content of freeze-dried kohlrabi powder resulted in higher total polyphenol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ferric to ferrous ion reducing p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kohlrabi freeze-dried powder and peel extract to Yanggaeng can improv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Yanggaeng.참고 자료
없음"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의 다른 논문
노인 당뇨병 환자 대상 당뇨병 식생활 교육이 당뇨병 지식 및 식생활 행동에 미치는 영향8페이지
전라북도 지역 대학생의 식습관과 한식에 대한 인식 및 기호도 연구13페이지
기능성 첨가 천연 탄산음료 제품 개발을 위한 기능성음료 관심도 및 재료 선호도 연구13페이지
소금과 아질산염 감소 수준이 돈육 패티의 품질특성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9페이지
재료배합비와 저장조건에 따른 냉동냉면(압출숙면)의 저항전분 함량과 조리특성7페이지
묘사분석과 전자코 및 전자혀를 이용한 시판 조미료의 관능적 특성13페이지
젤화제 첨가에 따른 우엉조림젤의 품질특성7페이지
도정도가 흑미밥의 기계적 및 관능적 조직감 특성에 미치는 영향8페이지
열풍건조 갈색거저리 유충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10페이지
클로로필 색이 안정화된 새싹보리분말을 첨가한 전통 발효 기정떡의 색소 안정성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