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받은 ER CRB inf study case
- 최초 등록일
- 2019.07.24
- 최종 저작일
- 2019.04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A+ 받은 ER CRB inf study case 입니다!
그냥 병동 CRB inf case에도 유용할꺼예용 ㅎㅎ
목차
1. 문헌고찰
2. 일반적 사항
3. 임상진단 검사(영상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기타)
4. 투약
5. 처치 및 치료, 간호
6. 추후 처치방안
7. 응급환자 문제 해결 과정
8. 간호과정
본문내용
뇌경색이란 ‘뇌혈관 질환’입니다. 뇌 조직은 평상시에도 많은 양의 혈류를 공급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뇌혈관에 폐색이 발생하여 뇌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감소하면 뇌 조직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고, 뇌혈류 감소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뇌조직의 괴사가 시작됩니다. 이렇게 뇌 조직이 괴사되어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 뇌혈관에 문제가 생겨 막히게 되어 산소 와 영양 공급이 중단되어 그 부위의 뇌세포가 죽게 되면서 반신마비, 혼수, 어지럼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뇌경색이라고 합니다. 뇌경색은 크게 3가지로 분류 됩니다.
① 혈전성 뇌경색 : 죽상동맥경화로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힙니다. 따라서 흘러갈 피가 모자라고 이어서 산소가 모자라서 뇌조직은 죽습니다. 대체로 병이 계속 나빠지는 경향이 있거, 대개 환자는 나이가 많고 고혈압이나 당뇨병, 동맥경화로 인한 심장병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뇌출혈과는 달리 조용히 쉬고 있을 때나 잠잘 때에 잘 생깁니다.
② 색전성 뇌경색 : 죽상동맥경화가 있는 동맥의 혈전에서 떨어져나온 색전이 뇌혈관을 따라 흘러가다 걸려서 동맥을 막기 때문에 그 아래의 뇌조직이 죽습니다. 따라서 동맥의 끝 부분인 큰골의 피질에 잘 생기고 또 여러 군데에 동시에 생기는 수가 많고 부분적으로는 핏줄이 터지기도합니다. 피가 제일 많이 가는 중대뇌 동맥에 흔합니다. 색전이 뇌혈관의 죽상동맥경화에서떨어져 나올 수도 있고 멀리는 심장(심방 세동, 급성 울혈성 심부전, 심장 판막 질환, 심내막염 등)에서도 옵니다.
③ 열공성 뇌경색 : 죽상 경화에 의해서 혈관이 전체적으로 좁아지거나 막히면 또는 어떤 원인으로 전체적인 뇌의 피 순환이 감소하면(저혈압, 심한 출혈 등) 뇌 중심의 커다란 혈관에는 피가 어느 정도 가지만 각각 큰 동맥의 변두리는 피가 모자르게 됩니다. 이때 생기는 변두리의 뇌경색을 말합니다.
참고 자료
대한 뇌졸중 학회 http://www.stroke.or.kr/
서울대학교 - 간호진단과 계획
성인간호학 下 - 서문자 외, 수문사
킴스온라인 : www.kimsoline.co.kr
드러그인포 : www.druginfo.co.kr
네이버 건강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