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유학연구 / 46권
ㆍ저자명 : 김형석 ( Kim Hyeong-seok )
ㆍ저자명 : 김형석 ( Kim Hyeong-seok )
한국어 초록
본고는 이충익(1744~1816)의 노자 주석서인 『초원담로』에 드러난 그의 삼교관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초원담로』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한결같이 유·불·도 삼교사상을 모두 포괄한다고 지적하거나, 『초원담로』에 드러난 삼교의 흔적을 추적하여 텍스트 내부에 삼교의 주요개념, 이론과 사상이 함께 존재함을 실증하는 데에 집중하여, 그 결과 삼교회통적 시각을 기반으로 유·불·도 삼교의 이론이 관계맺고 있다는 결론으로 귀결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초원담로』의 삼교합일이나 삼교회통에 대한 입증을 넘어서, 『초원담로』 속에서 유·불·도의 이론이 어떤 맥락으로 어떤 위계를 구성하고 있는지의 문제에 집중하였다. 이충익이 『초원담로』에서 직접 언명한 부분과 『초원담로』의 핵심을 구성하는 ‘유·무’의 ‘상즉’론에 관한 분석을 중심으로 삼교의 관계와 위계에 대한 이충익의 관점을 검토하였다.그 결과 『초원담로』는 근본적인 대의 면에서 유·불·도가 서로 통할 수 있다고 보면 서도, 노장사상에 최우선적인 위계를 부여하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유교를 그 다음으로는 불교를 위치시키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충익 당시에도 삼교합일을 주장하는 다양한 『노자』 주석서들이 있었지만, 이충익의 노자주는 『노자』를 이해하는 데 삼교 중 노장의 논리를 가장 우선시했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의가 있다.영어 초록
This paper analyzed the theory of the Lee Chung-yik’s view of the three religions in his commentary of Laozi, Cho-weon-dam-lo. Many precedent research considered ‘unity of the three religions’ as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o-weon-dam-lo, but there were no studies about how three religions form in his perspective of ‘unity of the three religions’. In other words, this paper take notice of the rank of three religions in his commentary from two points of view: that is, analysis of Lee’s mentions in his commentary and examination of his core theory, mutual identity(相卽) theory of Being and Non-being. Consequently, Cho-weon-dam-lo established hierarchy in the following order: Taoism, Confucianism, Buddhism.참고 자료
없음태그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
종교적 공존과 관용을 위한 시론 - 원효와 최치원의 사상을 중심으로 -24페이지
디지털 노마드(Digital Nomad)시대, ‘포용(inclusion)의 정치학’을 위한 유교적 ..24페이지
작은 사회 회복을 위한 유가윤리(오륜)의 현대적 재해석24페이지
정감, 비평의 윤리, 『인모(印母)』29페이지
할관자의 사상적 배경과 신화적 우주론24페이지
대교약졸(大巧若拙)의 도가미학적 연구19페이지
서화예술의 ‘기운생동론(氣韻生動論)’에 대한 맹자미학적 고찰23페이지
맹자(孟子)의 개혁적 정치성향과 제 선왕(齊 宣王)의 양심(良心) 구명(究明) -맹자거제(孟子去齊)..29페이지
공자사상에서 호학(好學)의 의미와 중요성20페이지
한국 성리학의 해석학적 발전 2 - 『이정전서(二程全書)』의 경우를 중심으로 -2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