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대학 한국어과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허생전> 교육 연구 -허생과 <유림외사>의 왕면의 비교를 중심으로-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고전문학과 교육 / 21권
ㆍ저자명 : 축취영 ( Zhu Cuiying )
ㆍ저자명 : 축취영 ( Zhu Cuiying )
한국어 초록
본고는 중국대학 한국어과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허생전> 교육의 실제를 탐색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허생전>과 <유림외사>는 비슷한 시기에 유사한 저술 배경에서 창작되었으며 봉건사회 사대부의 허위성, 봉건관료의 무능함 폭로ㆍ비판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허생전>에서의 허생과 <유림외사>에서의 왕면(王冕)은 위선적이고 무능한 지식인과의 대비를 이루기 위하여 창출된 인물 형상이다. 긍정적인 지식인으로서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허생과 왕면(王冕)의 언행을 통하여 두 작품에 반영된 주제, 작가 의식 등을 비교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비교문학적 관점을 도입하여 허생과 왕면(王冕)을 비교함으로써 중국대학 한국어과 고급 학습자를 위한 <허생전> 교육의 실제를 제시하고자 한다.인물 비교를 통한 <허생전> 교육의 효율성과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고는 7명의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실제 수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치부 수단을 통해 본 사회 현상, 실학적 실천ㆍ비판ㆍ건의를 통해 본 정치 주장, 초연함과 은거 선택을 통해 본 처세 태도, 이렇게 세가지 측면에서 인물 비교를 통한 <허생전>의 이해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 양상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인물 비교를 통한 <허생전> 교육의 목표, 내용, 교수ㆍ학습 활동을 제시하였다.본고는 비교문학적 관점을 도입하고 실제 수업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중국대학 한국어과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허생전> 교육의 실제를 모색한다는 데 의미를 지니고 있다.영어 초록
In this article, the author discussed how to teach “Heosaengjeon( 許生傳)” to the advanced learners of Korean language from universities in China.Using comparative literature methods, the author studied the teaching of “Heosaeng-jeon” by comparing between Heosaeng and Wangmian in “The Scholars(儒林外史)”. Prior to the composition of this article, the author performed teaching experiments on seven Chinese advanced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o clarify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eaching “Heosaeng-jeon” by comparing different characters. Thereafter the author classified and analyzed the experimental data acquired. Based on these results, in Chapter 4,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the author proposed the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of teaching “Heosaeng-jeon”.This article would be potentially useful in both introducing comparative literature methods into the education of foreign literatures, and summing up teaching methods by practical teaching experiments.참고 자료
없음태그
"고전문학과 교육"의 다른 논문
『삼국유사』 용신설화의 유형과 작품양상28페이지
「도강록」에 나타난 연암의 관심사25페이지
출생담(出生譚)을 통해서 본 <소현성록(蘇賢聖錄)> 가문의식(家門意識)의 발현 양상40페이지
<숙영낭자전>에 나타난 여성 해방 공간, 옥연동28페이지
고전소설의 영상 매체로의 전환 유형과 사례26페이지
신병 훈련소에서 셰익스피어 가르치기 -페니 마셜 감독의 <르네상스 맨>-20페이지
연극성 성격장애의 심층적 원인으로서의 연극성서사35페이지
바람난 배우자에 대한 설화 속 대응양상과 이를 활용한 문학치료적 설계29페이지
<속사씨남정기>의 성격과 교육적 함의28페이지
욕망의 구조로 읽은 <쌍화점>3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