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요약
- 최초 등록일
- 2019.05.23
- 최종 저작일
- 2018.12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연구문제
3.연구방법
4.연구결과
5.논의 및 결론
6.비평
본문내용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자기조절력은 만 3~5세 사이 유아기에 기초가 형성되며 이후의 인지, 사회, 정서발달 등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양옥승 외, 2003).
- 자기조절력은 한 순간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한 개인이 부모, 가정, 또래관계에서 점차적으로 발달되는데, 특히 유아기에 자기조절력에 문제가 생길 경우, 유아는 충동적 과잉행동을 보이는 행동장애를 보이며, 공격적 행동, 학습장애 등의 적응문제를 유발한다(김은숙, 2008)고 보고됨.
- 선행연구에 의하면, 부모의 민감한 양육행동은 자기조절력을 향상시키는 반면, 개입과 복종 등 부정적이고 권위적인 양육행동은 자기조절력을 저하시킨다고 하였다(Berger, 2004).
-핵가족 비율이 높은 현대사회에서 자녀양육은 더 이상 여성의 전유물이 아닌 부부가 공동으로 수행해야 한다는 인식이 널리퍼진 현 시대에, 아버지의 자녀양육에 대한 긍정적 효과 연구가 많이 이뤄지고 있다. 특히 아버지의 적극적인 양육참여는 유아기 자녀의 인지발달, 성역할발달, 도덕성 발달, 사회정서적 발달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윤형경, 2010외 다수).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