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하이데거학회
ㆍ수록지정보 : 존재론연구 / 15권
ㆍ저자명 : 배학수 ( Bae Hak-soo )
ㆍ저자명 : 배학수 ( Bae Hak-soo )
한국어 초록
지금 우리나라에는 성에 관해서는 아무런 기준이 없다. 정당성은 없고 강제력만 있는 법률은 제대로 집행될 리가 없다. 무엇이 옳고 그른지 알 수 없기에 아무렇게나 해도 안 될 것이 없는 것, 이것이 지금 우리나라의 성 문화이다. 이러한 혼란의 근본 문제는 성 윤리가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성 윤리 불가지론이 수반하는 성 혼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성의 윤리를 철학적 기반에서 세워야 한다. 새로운 성 윤리를 만든다고 전통에서 규범을 찾아 가져 올 수는 없다. 그리고 성 윤리를 확립하기 위해 전통이 아닌 다른 곳에서 무작정 가지고 올수도 없다. 성 윤리는 전통이든 다른 무엇이든 근거에 대한 깊은 성찰 없이 세울 수는 없는 것이다. 성 윤리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성의 본질에 대한 깊은 탐구가 필요하다.이 글은 성(sex)의 본질을 성의 본래성 문제로 이해하여 삶의 본래성 지평에서 논의한다. 나는 『존재와 시간』에서 하이데거가 제시한 본래성 개념을 성의 문제를 다루기 위한 지평으로 도입하려고 한다. 그에게 본래성은 자신에 대한 집중이다.하이데거에게 인간은 사회적 역사적 존재이다. 인간은 항상 다른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공동 존재이다. 지금 ‘나’에게는 길고 긴 인간의 역사와 가족, 민족, 인류가 모여 있다. 따라서 진정한 ‘자기 집중’이란 고립된 나 혼자만의 주관만 주시하는 데 머무를 수 없으며, 내 존재를 구성하는 역사와 타인에게 책임을 다하는 것이다.본래성의 사회적 의미 덕분에 하이데거의 개념은 성 문제의 토론에 적용할 수 있다. 성 행위가 인생 전체의 맥락 속에서 어떤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지를 주목하면서 상대방뿐만 아니라 관련된 모든 사람에 대해 고려하는 성이 진정한 성이다. 삶의 본래성에 관한 논의에서 볼 때, 진정한 성은 특정한 성의 개념을 전제하지 않으면서도, 자신과 타인에 대해 책임을 지는 것이다.성의 담론이 성 생활에 대한 윤리적 지침을 주기 위해서는 좋은 성과 나쁜 성을 구별하는 기준을 제시해야 한다. 이래도 좋고 저래도 좋은 식의 기준, 자기가 만족만 하면 그만이라는 식의 판정 기준은 제대로 작동할 수 없다. 성의 본질에 관한 다양한 논의를 통하여 성 윤리를 새로 확립하는 것이 현대 한국 철학계의 과제일 것이다.영어 초록
There is no criteria of Sexuality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Losing their moral validity, some existing sexual laws do not work well. The sexual culture in Korea, now, would be that people do not know what is right or wrong in their sexual behaviors due to the lack of sexual standards. One of the fundamental causes of the sexual disorder is that the solid sexual morality is not established.Coping with the sexual confusion following the agnosticism about sexuality, we should build our sexual morality o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In making new sexual morality, tradition or other sources should not be brought uncritically. We need a through investigation into the essence of sex in order to establish our new sexual morality.In the article, I am going to discuss the essence of sex on the background of the authenticity of human beings. The concept of the essence of sex, I understand, means the authenticity of sex. The authenticity that Martin Heidegger introduces in Being and Time will be the horizon for dealing with the authenticity of sex. He thinks that the authenticity of one's life is to focus on oneself.To Heidegger, we are a social and historical being. Human beings are living together with other people. The present 'I' is gathering a long and wide history of human beings and family, nation. Therefore the true self-focusing of the authenticity does not look at only an individual ego, but is responsible for the history and others which constitute the being of oneself.The social implication of the authenticity make Heidegger's authenticity apply to discuss the sexual problem. With regard to the authenticity of life, the authenticity of sexuality would be to consider all people around an individual's sexual relation. It means to focus not only oneself but also other people related to one's sexual behavior. The authentic sexuality does not take any views on sexuality for granted, but is responsible for being of oneself and others.The discourse on sexuality should have ethical meanings regulating our sexual lives. It should suggest some criteria to distinguish good sex from bad one. In order to deal with the present sexual disorder in the Korean society, we should not take the standpoints that any thing goes on sexuality. One of tasks of the contemporary Korean philosophy would be to establish a new sexual morality based on various discussions on the essence of sexuality.참고 자료
없음"존재론연구"의 다른 논문
유가철학에서 본 생명윤리 시대의 배아연구31페이지
하이데거 시학의 실제: 시 텍스트에서 존재의 개시 및 은폐 문제25페이지
테세우스 영웅 신화에 대한 분석29페이지
원효의 “고향” 이야기29페이지
2부만으로 읽는 박경리 「토지」론 - 나와 너의 관계거리와 나의 나됨 찾기 <토지문학공원> -29페이지
존재의 의미냐 기호의 의미냐 - 하이데거와 데리다를 중심으로 -17페이지
아도르노의 하이데거 비판에 대한 고찰28페이지
헤겔의 ‘경험’개념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석 - 「헤겔의 경험개념」을 중심으로 -30페이지
칸트의 존재 테제에 대한 하이데거의 존재 역사적 해체30페이지
니체의 니힐리즘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2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