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 최초 등록일
- 2019.04.01
- 최종 저작일
- 2018.06
- 2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지역경제의 활성화의 개념 및 의의
2. 지방화 시대의 지역 경제 활성화
3. 전라남도 분석 및 전략
4.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관리방안
Ⅲ. 결론
본문내용
지난 30년간 우리의 경제발전이 진전됨에 따라 산업생산 시설과 사회간접자본 그리고 인적자본의 축적이 획기적으로 이루어져왔다. 아울러 산업기술의 축적도 동시에 진행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지역발전은 지방의 다양성과 잠재력을 무시하고 획일적인 정책결정만을 강조하는 중앙 위주로 이루어졌다. 또한 시장기능을 경시하고 계획결정만을 강조하는 중앙 위주로 이루어졌다. 또한 시장기능을 경시하고 계획기능을 중시하는 관 주도로, 손으로 만질 수 있는 물질적이 제조업 위주로 세계의 주목을 덜 받는 지역 내부 위주로 진전되어 왔다. 그러나 앞으로 세계의 중심국가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관행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에서 지역경제발전이 추진되어야 한다. 그러면 왜 새로운 각도에서 지역발전이 추진되어야 하는가. 그것은 21세기 지역경제를 둘러싼 국제 여건과 사회구조가 지난 세기의 그것과는 판이하게 다르기 때문이다. 그 중 예상되는 주요 경제여건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가 가속될 것이라는 점이다. 국가경제나 지역경제의 개방화가 점점 가속되어 세계 각국이 단일시장에서 경제활동을 영위하는 지구촌 경제의 시대가 될 것이다. 둘째, 산업조직과 경제구조가 더욱 유연화도리 것이라는 점이다. 종래의 소품종 대향생산 방식은 짧아진 제품수명 사이클, 다양해진 제품, 세분화된 시장 등에 적응할 수 있는 다품종 소량생산체제로 변화하게 되었다. 셋째, 지식기반경제의 조류가 만연해 질 것이라는 점이다. 자본과 노동이라는 종래의 대표적인 생산요소가 이제는 그 의미를 잃게 되고 그 자리를 지식이라는 새로운 생산요소가 차지하게 된 것이다. 넷째, 환경과 문화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대될 것이라는 점이다. 다섯째, 디지털 경제로의 이행이 완료될 것이라는 점이다. 과거의 인쇄매체, 전화 그리고 텔레비전을 능가하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미디어가 인간의 삶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면서 새롭게 부각되었다. 즉, 컴퓨터와 네트워킹이 합쳐져서 디지털 경제를 만들어 낸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우리는 지역경제의 활성화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모성은 , 『지역경제정책론』, 박영사, 2002
대구 . 경북 지방 중소기업청 . 안동소상공인지원센터 (2000 . 3) 『안동시 특화산업 (특산품) 실태조사 및 발전 방향』
4차 산업혁명은 데이터 혁명이다’ 2016.07.01., 매일경제
Klaus Schwab, 제4차 산업혁명, 2016
2017 전라남도 지역산업진흥계획안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