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로저스의 인간중심상담에서 ‘진정한 사람되기’에 관한 불교적 시선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ㆍ수록지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36권
ㆍ저자명 : 이영림 ( Lee Young-rim )
ㆍ저자명 : 이영림 ( Lee Young-rim )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불교적 시선으로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상담에서 ‘진정한 사람되기’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인본주의 심리학자이자 인간중심상담의 주창자인 로저스의 “상담의 중심은 사람”에 기반한 상담원리와 상담자의 태도를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로저스의 저서『진정한 사람되기』에 함의된 상담접근법을 통해 불교적 사유를 도출하였다. 더 나아가 로저스가 강조하는 진정한 자기 자신이 되는 것과 내담자를 대하는 태도에 관해 불교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밝혔다. 첫째, 상담자가 진정한 자기 자신이 되기 위해서는 연기와 사성제를 바르게 자각하고 지금-여기-자기의 온전한 경험을 지속할 때 가능하다. 둘째, 상담자와 내담자가 서로를 통해 함께 성장한다는 신념에서 출발하며, 상담자는 사무량심(四無量心)과 사섭법(四攝法)의 태도로써 내담자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시대와 공간을 초월한 붓다의 가르침이 과거·현재·미래 사회를 통섭(統攝)하여 상담자의 인간적 자질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영어 초록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xamine ‘On Becoming a Person’ from a Buddhist perspective in Carl Rogers’ Person-Centered Counseling. To do this, I first looked at the principle of counseling and the attitudes of counselors to the humanistic psychologist Rogers, who advocated Person-Centered Counseling. I examined the Buddhist thought implicit in Rogers’ book “On Becoming a Person.” Furthermore, I examined on the treating the client and being a true self of Rogers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m. First, the counselor attaches importance to the now-here-self experience of correctly perceiving and practicing the dependent arising and the Four Noble Truths in order to become true self. Second, from the belief that counselors and client grow together through each other, takes the attitudes of the Four lmmeasurables and the Four All-embracing and sees the client as it 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 human qualities of the counselors who oversee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society through the teaching of Buddha across time and space.참고 자료
없음태그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
평등해야 평화롭다 청말 사상가 담사동의 평등평화론32페이지
파사석탑(婆娑石塔)의 유래와 조성과정에 관한 연구35페이지
결혼이주여성의 부적응과 불교에서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소고21페이지
한국 현대불교의 현장포교를 위한 모색 - 무일(無一)의 전법교화를 중심으로 -33페이지
상불경보살 실천행의 불교심리치료적 해석26페이지
조선후기 불교의례ㆍ의식의 밀교적 양상 고찰 - 불교의례ㆍ의식집의 몇 가지 도상을 통하여 -35페이지
간화선 대중화 고찰21페이지
고대사회의 교육 공간으로서 경주 남산28페이지
초기불교에 나타난 ‘붓다 대화법’의 사례와 특징 - 문답법을 중심으로 -28페이지
진리의 재발견 : 소크라테스의 무지와 나가르주나의 공3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