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주택가격 변동의 장단기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부동산학회
ㆍ수록지정보 : 부동산학보 / 67권
ㆍ저자명 : 윤성민 ( Yoon Seong-min ) , 손승화 ( Sohn Seung Hwa ) , 이정인 ( Lee Jung-in )
ㆍ저자명 : 윤성민 ( Yoon Seong-min ) , 손승화 ( Sohn Seung Hwa ) , 이정인 ( Lee Jung-in )
한국어 초록
본 연구에서는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장단기 거시경제적 결정요인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표본은 7개 대도시의 1986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의 월별자료로 구성된 지역패널자료이고, 분석에 이용된 방법은 패널단위근 검정, 패널공적분 검정 및 관계식 추정, 패널백터오차수정모형, Granger 인과관계 검정이다. 실증분석에서 얻은 주요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자율, 예금은행의 주택대출액, KOSPI 종합지수 등 전국 수준의 변수들과 주택금융신용보증 공급, 주택전세가격, 가구수, 65세이상 인구 비중 등 지역경제 수준의 변수들이 지역주택매매가격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자율, 주택금융신용보증, 65세이상 인구비중, 취업자수, 경기동행지수 등이 단기적으로 지역주택매매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택전세가격, 전국예금은행주택대출, 가구수, KOSPI 지수는 단기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영어 초록
1. CONTENTS(1) RESEARCH OBJECTIVESThis study examined the long-run and short-run macroeconomic determinants of regional house price in Korea.(2) RESEARCH METHODWe used regional panel data composed of monthly data of seven major cities over the period from January 1986 to December 2015, and analyzed using the econometric methods of panel unit root test, panel cointegration test, panel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PVECM), and Granger causality test.(3) RESEARCH FINDINGSWe found that the variables of interest rate, house purchase loan, stock market index, guarantee for housing financial credit, chonsei price, number of household, and ratio of aged person over 65 years have significant impacts to the house price dynamics in the long-run. We also found that interest rate, guarantee for housing financial credit, ratio of aged person, number of employed person, and business cycle index have significant impacts to the house price in the short-run.2. RESULTSThe macroeconomic long-run and short-run determinants of the house price are not the same. Thus, it is necessary to importantly consider this discrepancy for the house price forecasting, investment decision on housing market, and policy response to boom and crash of housing market.참고 자료
없음태그
"부동산학보"의 다른 논문
혁신도시 클러스터용지 공급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12페이지
초고층 개발사업의 기대효과에 관한 연구 - 사업주체와 일반인의 비교 -12페이지
지역활성화를 위한 역세권 복합개발 방향 및 프로그램 중요도 분석11페이지
주거가치가 주거만족도와 부동산투자관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창원지역 베이비붐세대를 중심으..15페이지
저소득가구의 주택 점유형태에 따른 결정요인 분석11페이지
오피스 임대료의 최적시점과 최적규모에 관한 연구14페이지
아파트 분양가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분석에 관한 연구 - 수도권지역·비수도권지역 중심으로 비교..14페이지
세종시와 대전 주택시장간 연관관계에 대한 연구15페이지
부실채권 관련 변수가 부동산의 경매낙찰가율에 미치는 영향 연구13페이지
부동산명의수탁자의 형사책임1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