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미국경제의 신용확장과 통화정책의 역할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ㆍ수록지정보 : 지역산업연구 / 40권 / 2호
ㆍ저자명 : 박갑제 ( Kapje Park )
ㆍ저자명 : 박갑제 ( Kapje Park )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미국 대공황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소비위축을 설명하는 신용확장(credit boom)에 미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Fed))의 1920년대 통화정책이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본 연구는 Temin(1976)이 소득과 가계부(wealth)에 의해서도 설명되지 않는 소비위축의 중요성을 강조한 이후 소비위축의 배후에 가계부채와 신용이 있다는 것을 강조하는 선행 연구들을 연구배경으로 하고 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20년대 진행된 두 번의 대규모 공개시장매입과 Fed관료들의 수용주의 정책이 확장적 통화정책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이 신용확장에 기여하였다. 둘째, 미 연준이 실시한 두 번의 공개시장매입이 Fed회원은행들의 차입지준수준에 기초함으로써 통화량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데 실패하였다. 셋째, 금본위제하에서 이른바 ‘게임규칙’이 지켜지지 못했고 불태화정책이 불완전하게 진행됨으로써 금유입과 국제수지흑자가 미국의 신용확장에 기여하였다. 넷째, 주식가격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금융안정정책이 부재한 가운데 ‘자산가격상승-신용공급증가’라는 연쇄과정을 통제하지 못한 것이 신용확장의 또 하나의 원인으로 지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 동안 학계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1920년대 미국 경제의 신용확장의 원인을 통화정책의 역할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영어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monetary policy in exerting the credit boom of the 1920s in the U.S. economy. This study is motivated by the literatures that emphas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amatic decline in the consumption of the Great Depression period and the credit boom of the 1920s. The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bstantial open market purchases of government securities by the Fed in the 1920s contributed to the credit boom. Second, the borrowed reserve strategy adopted by the Fed failed in controlling the money supply efficiently. Third, under the gold standard reconstructed in the 1920s, the U.S. economy experienced the continued surplus of balance of payments. And the sterilized monetary policy was incompletely conducted. These made the U.S economy to be in the credit boom. Fourth, the stock price was not efficiently controlled by the adequate financial stability policy. And the dramatic increases in the stock prices supported the credit boom.참고 자료
없음"지역산업연구"의 다른 논문
KOSPI200선물, CSI300선물, NIKKEI200선물시장 간의 정보효율성19페이지
인터넷 쇼핑몰의 서비스품질과 고객충성도의 관계에서 성격유형의 조절효과 분석19페이지
호텔·외식기업 종사원의 내적요인이 고객서비스 비표준화에 미치는 영향관계22페이지
개발과 난개발과 환경보전 사이의 경합적 과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아랄해, 바이칼호수, 밀포드..33페이지
구미지역의 틈새관광전략에 관한 연구19페이지
소명의식의 삶의 질에 대한 영향력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검증24페이지
싱글족의 레스토랑 선택속성이 만족도, 재방문 및 추천의향에 미치는 영향19페이지
프랜차이즈 기업의 브랜드 자산, 지각된 가치, 및 재방문 의도와의 구조적 관계 연구23페이지
외식기업의 펀(fun) 경영이 조직몰입과 서비스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20페이지
수산물 원산지표시제도 운용에 관한 연구23페이지